'따오기 외교' 주도하는 中, 추가기증 '머뭇'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영토분쟁 때문에 애꿎은 우리나라의 따오기 복원사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23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6일부터 열흘 동안 제주에서 열린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 중국 임업국 관계자를 공식 초청해 따오기 보호ㆍ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려 했으나 중국 측의 거부로 무산됐다.

협력이라고는 하지만 현재 따오기 개체수가 19마리에 불과한 우리나라로서는 증식ㆍ복원을 위해 중국에 추가 기증을 요청해야 하는 입장이다.

경남 창녕의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 살고 있는 따오기들도 2008년 중국에서 들여온 양저우(洋洲)ㆍ룽팅(龍亭) 부부와 그 자손들이다.

중국 정부는 따오기 복원과 보호에 관해 한국ㆍ일본 등 3자가 협력하는 모양새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의 초청과 MOU 체결에 미지근한 반응을 보인 이유도 센카쿠 갈등으로 일본과 '따오기 교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한국에만 추가기증을 약속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환경부는 보고 있다.

경남 창녕군은 2016년까지 따오기를 100마리로 증식한 뒤 우포늪에 야생 방사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양저우 부부가 낳은 새끼들로 따오기 가족의 규모를 키워왔다.

하지만 현재 수컷 3마리에 암컷 16마리로 암수 비율이 맞지 않는데다 근친교배에 다른 면역력 약화 등 부작용 때문에 핏줄이 다른 개체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환경부와 경남도 등은 지난해부터 중국산 따오기의 추가 도입을 추진해왔다.

작년 12월에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를 만나 한국과 일본에 따오기를 추가 기증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따오기 외교'에 관한 한 주도권을 쥐고 있는 중국이 최근 입장을 바꾸면서 난관에 부딪혔다.

따오기를 키우고 있는 우포늪관리사업소 관계자는 "중국 최고 수뇌부에서 기증하겠다고 했는데 외교적으로 잘 풀면 되지 않겠느냐"면서도 "당장 몇 세대는 괜찮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갑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환경부 등은 중국 대신 일본에서 따오기를 도입하는 방안도 한때 고려했다.

그러나 일본 역시 개체수가 200마리 안팎에 불과한 데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 기증받은 개체를 불린 처지라 중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환경부 관계자는 "중국 임업국에 일단 우리나라와 양자간 교류를 하자고 조만간 제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te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