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인근 공해상서 27일 4개국 해상차단훈련

부산 동남방 공해상에서 이달 말 한국 주도로 4개국이 참가하는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해상 훈련이 실시된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일본 함정도 참가한다.

그러나 일본 군함이 부산항에 입항하지는 않을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일본 함정이 해상훈련에 참가하는 다른 나라 함정과 달리 한국에 입항하지 않은 것은 독도·과거사 문제로 촉발된 한ㆍ일 갈등을 반영한 것이다.

국방부는 이날 부산에서 100여㎞ 떨어진 동남방 공해상에서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 등 4개국이 참가하는 PSI 해상차단훈련을 오는 27일 실시한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두 번째로 실시되는 이 훈련에는 함정 7척, 항공기 11대 등의 장비와 9개 검색팀이 참여한다.

한국은 이지스구축함(7천600t급)과 초계함(1천500t급) 등 4척, 미국은 호위함(4천t급) 2척, 일본은 구축함(4천t급) 등의 수상함을 파견한다.

해상초계기(P3-C)와 대잠 링스헬기, 공중조기경보통제기(호주) 등 항공기 11대, 한국(7개팀)과 미국(1개팀), 일본(1개팀)의 해상검문검색 특공대 등도 참여한다.

일본은 해상자위대 소속 구축함과 헬기, 해상초계기를 참가시키지만 부산항에 입항하지는 않는다.

신원식 국방부 정책기획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 미국, 호주의 참가 전력은 부산항에서 출항하고 일본은 일본쪽 항구에서 출발해 공해상에서 합류한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일본이 독도 문제로 인한 한국 내 반일 감정을 의식하는 것 같다"면서 "부산항에 일본 함정이 들어오면 해상시위 등이 벌어질 것을 우려해 입항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본 함정과 항공기는 대마도 근처 해상에서 차단 작전을 펼치는 임무를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상차단훈련은 선박 2척을 대량살상무기(WMD) 적재 의심 선박으로 가정해 해상차단과 승선ㆍ검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구축함과 항공기 등이 의심 선박의 이동로를 차단하고 해상검문검색 특공대를 승선시켜 WMD 적재 여부를 수색한다.

또 의심 선박에 대해 초계기와 대잠 링스헬기 등으로 항공 정찰한 뒤 행선지와 적재화물 등을 통신 검색한다.

이어 차단기동과 승선·검색, 항구 검색 순으로 실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이번 훈련이 북한을 겨냥해 실시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특정 국가를 전혀 염두에 두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해상차단훈련에 앞서 26일 부산 해운대그랜드호텔에서 16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도상훈련(TTX)을 실시한다.

TTX에서는 참가국 대표들이 회의실에 모여 해상차단훈련 계획과 방법 등을 사전 토의한다.

24~25일에는 국립외교원과 외교부 주관으로 PSI 운영전문가그룹(OEG) 회의가 열린다.

이 회의에는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일본, 싱가포르, 호주 등 PSI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21개국 대표단이 참가, 향후 PSI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5년 PSI에 옵서버로 참여한 이후 2009년 10월26~30일 싱가포르에서 실시된 역외 PSI 해상차단훈련에 처음 참가했으며 2010년 10월에는 훈련을 처음으로 개최했다.

현재 PSI에는 101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내년이면 PSI 출범 10주년을 맞는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