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이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 전환과 정부 지원 필요"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수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에 머무르고 있는데도 이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의 관심과 정부 의 해결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9일 OECD 통계연보(Fact book)에 따르면 2009년 기준 우리나라의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한 사람 수)는 28.4명으로 OECD 평균인 11.3명의 2배가 넘는다.

여성의 자살자 수는 19.7명으로 OECD 평균인 5.1명의 4배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자살은 개인이 아닌 사회의 문제'라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산 아르바이트생 자살사건과 대구 중학생 자살사건 등 올해 일어난 자살 사건을 살펴보면 왕따, 성폭행, 학교폭력 등 사회에 만연해 있던 문제가 자살로 이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김현정 한국자살예방협회 대외협력위원회 부위원장은 "자살은 개인이 아닌 국민의 문제이므로 정부가 나서서 자살예방 지원에 힘써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많은 사람들이 힘들 때 '죽고싶다'거나 '죽겠다'는 극단적인 표현을 사용한다"며 "아이들에게 죽는 것이 해결책이 아니고 생명존중 가치관을 길러줄 전반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자살예방 사업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도 절실하다.

OECD 자살률 1위 국가라는 현실에도 정부의 예산은 터무니없이 적은 수준이다.

박종익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일본은 자살예방에 3천억원을 들이고 있는데 우리나라 정부의 예산은 20억에 불과하다"며 "예산을 늘리지 않고 자살률만 떨어지길 바라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자살 문제해결에 관한 정책을 우선순위로 둬야한다"고 덧붙였다.

김 부위원장도 "예산뿐만 아니라 정부와 입법기관의 진심어린 관심이 자살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heev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