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수상자란 연락을 받고 솔직히 얼떨떨했어요.”(김태훈 씨) “열심히 준비한 만큼 내심 기대를 좀 하긴 했죠.(웃음)”(오상록 씨)

한국경제신문과 한국경제학회가 공동 주최한 제10회 대학(원)생 경제논문공모전에서 ‘비정규직 경력의 신호효과에 대한 연구’로 대상을 받은 김씨와 오씨는 6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현재 비정규직 보호법은 정규직 전환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비정규직이 가진 가교역할을 잘 살리지 못하고 있다”며 한목소리로 말했다.

두 사람은 서울대 경영학과 선후배 사이다. 김씨는 3학년이고 오씨는 2학년까지 마친 뒤 휴학 중이다. 공모전 참가를 위해 후배인 오씨가 김씨에게 공동논문 작성을 제의해 한 팀이 됐다. 오씨는 2년 전 ‘서울대 학술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에서 최고상인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을 받은 데다 다른 논문대회에서도 두 번씩이나 대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작년 3월 의무소방원으로 입대하면서 시간이 모자라 과 선배인 김씨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김씨도 학내 경제학 세미나 동아리인 에스퍼스(SFERS)에서 활동하며 이름을 날리고 있었다.

김씨는 비정규직을 논문 주제로 선정한 배경에 대해 “비정규직은 무조건 안 좋다는 감성적 접근 대신 고용시장에서 실질적으로 비정규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려 했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비정규직이 고용시장에서 정규직으로 이동하는 중간 과정에 있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기업이 구직자에 대한 능력을 파악한 후 생산성이 높은 근로자는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그렇지 않은 근로자는 해고하는 과정에서 비정규직이 생겨난다는 얘기다.

하지만 김씨는 “취업시장에서 비정규직 경력이 있는 재(再)구직자들이 차별을 받고 있다”며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신호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기에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못하면 결국 능력이 부족한 근로자로 낙인 찍혀 계속 비정규직으로 전전하게 된다는 것. 이 같은 차별적 구인관행이 결과적으로 기업의 생산성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는 게 논문의 핵심 요지다. 일단 비정규직으로 입사할 경우 능력이 부족한 근로자로 찍힐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이게 되고, 나중에 정규직 전환이 가능한 인력들까지 무조건 비정규직을 거부하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