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경제팀 마지막 미션 "GCF 유치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2의 세계은행' 송도 유치戰…본·제네바와 경합
11월 말 결정…중국·인도 "한국 지지" 日이 변수
11월 말 결정…중국·인도 "한국 지지" 日이 변수
기획재정부가 내년 2월 임기가 끝나는 이명박정부(MB)의 성공적인 피날레를 위해 추진한 목표는 두 가지다. 국가신용등급의 ‘더블A(AA)’ 진입과 국제기구 본부 유치다.
이 중 ‘더블A’ 달성은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지난달 27일 전격적으로 한국의 신용등급을 ‘Aa3’로 한 단계 높이면서 조기 달성했다. 남은 과제는 ‘제2의 세계은행(World Bank)’으로 불리는 녹색기후기금(GCF)의 유치. 최종 결정은 11월 말 카타드 도하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당사국 총회에서 투표로 이뤄진다.
○MB정부 국제외교의 종결판
최종구 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1급)은 지난달 22~25일 스위스 제네바에 열린 GCF 1차 이사회에 참석했다. 이사회에서는 GCF 유치를 신청한 세계 6개 도시의 프레젠테이션이 열렸다. 신민철 재정부 녹색기후 태스크포스팀장은 “GCF가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제기구여야 한다는 점과 GCF 발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강력한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고 말했다. 인천 송도가 병원 학교 등 외국인을 위한 생활 인프라가 완비돼 있고 무상으로 사무국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현재까지의 판세는 인천 송도와 함께 본(독일), 제네바(스위스) 등 3파전 양상이다. 후발주자인 바르샤바(폴란드), 멕시코시티(멕시코), 빈트후크(나미비아) 등 3개 도시도 추격 의지를 보이고 있다.
본은 독일 통일 이후 수도를 베를린에 내주고 연방정부를 보내면서 심각한 도심 공동화에 직면해 있어 독일 정부가 적극 나서고 있다. 제네바는 세계무역기구(WTO)를 포함한 각종 국제기구가 이미 밀집해 있는 점과 편리한 외국인의 주거여건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정부 내에서는 GCF 유치가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와 핵안보 정상회의 유치에 이어 MB정부 국제외교의 종결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CF는 향후 최대 1000명까지 상주 근무자가 늘어나고 연간 100회가 넘는 국제회의가 열릴 예정이어서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가 연간 2000억원을 넘을 전망이다.
○독일·스위스 단일화 가능성도
투표권을 갖고 있는 24개 GCF 이사국은 선진국과 개도국이 각각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북미와 중남미 등 지역별로도 안배가 돼 있다.
이 중 유럽이 8개국으로 3분의 1을 갖고 있다. 유럽연합(EU)의 리더국인 독일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반면 아시아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등 4개국으로 유럽의 절반에 불과하다. 한국으로서는 중남미와 아프리카 6개국을 잡아야 승산이 있다. 매투표시 꼴찌를 탈락시키는 ‘멀티플 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신제윤 재정부 1차관은 최근 이들 국가를 직접 방문해 표심 잡기에 나섰다. 박재완 재정부 장관도 지난달 한·러 재무장관회담을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 지원을 요청했다. 한국계인 김용 세계은행 총재를 통한 간접 득표전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변수는 일본이다. 독일과 스위스의 후보 단일화 가능성에 대비, 최소한 아시아 4개국의 지지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과 인도가 한국을 지지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일본과는 최근 독도 문제로 외교 갈등이 불거지면서 협조를 받기가 어려워졌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이 중 ‘더블A’ 달성은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지난달 27일 전격적으로 한국의 신용등급을 ‘Aa3’로 한 단계 높이면서 조기 달성했다. 남은 과제는 ‘제2의 세계은행(World Bank)’으로 불리는 녹색기후기금(GCF)의 유치. 최종 결정은 11월 말 카타드 도하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당사국 총회에서 투표로 이뤄진다.
○MB정부 국제외교의 종결판
최종구 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1급)은 지난달 22~25일 스위스 제네바에 열린 GCF 1차 이사회에 참석했다. 이사회에서는 GCF 유치를 신청한 세계 6개 도시의 프레젠테이션이 열렸다. 신민철 재정부 녹색기후 태스크포스팀장은 “GCF가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제기구여야 한다는 점과 GCF 발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강력한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고 말했다. 인천 송도가 병원 학교 등 외국인을 위한 생활 인프라가 완비돼 있고 무상으로 사무국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현재까지의 판세는 인천 송도와 함께 본(독일), 제네바(스위스) 등 3파전 양상이다. 후발주자인 바르샤바(폴란드), 멕시코시티(멕시코), 빈트후크(나미비아) 등 3개 도시도 추격 의지를 보이고 있다.
본은 독일 통일 이후 수도를 베를린에 내주고 연방정부를 보내면서 심각한 도심 공동화에 직면해 있어 독일 정부가 적극 나서고 있다. 제네바는 세계무역기구(WTO)를 포함한 각종 국제기구가 이미 밀집해 있는 점과 편리한 외국인의 주거여건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정부 내에서는 GCF 유치가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와 핵안보 정상회의 유치에 이어 MB정부 국제외교의 종결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CF는 향후 최대 1000명까지 상주 근무자가 늘어나고 연간 100회가 넘는 국제회의가 열릴 예정이어서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가 연간 2000억원을 넘을 전망이다.
○독일·스위스 단일화 가능성도
투표권을 갖고 있는 24개 GCF 이사국은 선진국과 개도국이 각각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북미와 중남미 등 지역별로도 안배가 돼 있다.
이 중 유럽이 8개국으로 3분의 1을 갖고 있다. 유럽연합(EU)의 리더국인 독일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반면 아시아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등 4개국으로 유럽의 절반에 불과하다. 한국으로서는 중남미와 아프리카 6개국을 잡아야 승산이 있다. 매투표시 꼴찌를 탈락시키는 ‘멀티플 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신제윤 재정부 1차관은 최근 이들 국가를 직접 방문해 표심 잡기에 나섰다. 박재완 재정부 장관도 지난달 한·러 재무장관회담을 위해 모스크바를 방문, 지원을 요청했다. 한국계인 김용 세계은행 총재를 통한 간접 득표전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변수는 일본이다. 독일과 스위스의 후보 단일화 가능성에 대비, 최소한 아시아 4개국의 지지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과 인도가 한국을 지지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일본과는 최근 독도 문제로 외교 갈등이 불거지면서 협조를 받기가 어려워졌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