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 전기요금 아까워 안 켜..긴급 냉방비 지원도 미흡

"에어컨이 있으면 뭐 합니까? 전기요금 낼 돈이 없는데.."

35도를 웃도는 폭염이 연일 계속 되는 가운데 갈 곳이 없어 경로당에 모여드는 노인들이 쏟아내는 하소연이다.

예산 지원이나 출향 인사들의 도움을 받아 에어컨을 설치한 경로당이 적지 않지만 월 17만∼20만원에 이르는 전기요금을 낼 형편이 못된다는 것이다.

정부나 지자체는 동절기 난방비는 지원하고 있지만 혹서기 '냉방비'는 항목 자체가 없다.

그러니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ㆍ군이나 노인회 관계자가 냉방기 가동을 권하고 있지만 어르신들은 돌아서면 냉방기를 꺼 버리기 일쑤다.

6일 경남도와 노인회 등에 따르면 도내 경로당 7천24곳 가운데 85.9%인 6천31곳에 에어컨이 설치돼 있다.

그러나 135곳은 전기요금 때문에 아예 사용하지 않고 있다.

나머지도 폭염 때만 잠시 켜는 '그림의 떡' 신세다.

현재 경로당에는 지자체에서 운영비조로 월 8만원씩 96만원과 난방비 70만원을 주고 있다.

2009년부터 동절기 특별난방비(기름값)로 11월부터 2월까지 매월 30만원씩 150만원이 추가로 지급되고 있다.

여름철 '냉방비'는 전혀 없고 월 운영비를 쪼개 써야 할 판에 에어컨을 많이 사용할 경우 전기요금을 감당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창원, 진주, 하동, 밀양, 양산, 창녕, 합천 등 시ㆍ군에서 따로 운영비를 지원하는 곳은 그나마 형편이 나은 편이다.

이에따라 행정안전부가 8월 한 달 경로당 냉방비 긴급 지원에 나섰지만 금액은 실제 필요한 전기요금의 절반에도 못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도는 지난해 에어컨을 가동했을 경우 한 달에 17만1천원의 요금을 부담했다는 조사를 토대로 행안부에 11억원 지원을 요청해 놓았다.

행안부가 아직 금액을 정하지 못한 가운데 한 곳당 3만∼5만원선, 총 3억5천만원 지원에 그칠 것이란 말이 나오고 있다.

나머지는 도비나 시ㆍ군비에서 조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데 지자체도 예산사정이 좋지 않아 어려움이 예상된다.

노인회 지회 관계자들은 "경로당에 가보면 에어컨이 있어도 전기요금이 겁나 켜지 않고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억지로 켜 드려도 돌아서면 꺼버리고 시원한 전각 등을 찾아나선다"고 밝혔다.

한편 도내 경로당에 설치된 에어컨 가운데 2천438대는 에너지 고효율 제품 설치 의향조사를 거쳐 63억원을 들여 지난해 설치됐다.

나머지는 노인들이 직접 또는 외부 도움을 받아 설치했다.

도는 아직 에어컨이 없는 993곳에 추가 설치할 계획은 없다.

노인복지 관계자들은 "여름철 폭염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어 별도의 냉방비를 책정해야 한다"며 "현금을 지원하면 노인들이 잘 사용하지 않은 경향이 있으므로 읍ㆍ면ㆍ동에서 전기요금을 대납하거나 일정금액을 한전으로 지급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창원연합뉴스) 정학구 기자 b940512@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