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대출 막히자 2·3금융권으로…年 40% 넘는 고금리에 '허덕'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고금리 채무가 불어나 어려움을 겪다가 자산관리공사(캠코)의 문을 두드린 사람은 지난달 말까지 총 10만9000명에 이른다. 캠코는 이 중 2010년부터 작년 말까지 2년간 저금리 전환대출 상품인 ‘바꿔드림론’을 신청한 6만1956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직업, 신용등급, 연소득 등을 광범위하게 조사해 ‘다중채무자 특성 및 시사점’ 보고서를 작성했다. 국내 금융기관이 저신용·저소득 계층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표본을 추출해 조사·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캠코는 조만간 이 보고서를 서민금융 지원 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금융위원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20·30대 중반 채무 급증

이 보고서에서 고금리 다중채무자의 평균 나이는 38.6세로 조사됐다. 30대(39.9%)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체적으로 남성(56.5%)이 더 많았지만 20대에선 여성 비중(54.2%)이 더 높게 나왔다. 여성의 사회 진출 시기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그만큼 대출 요인이 많았다는 분석이다. 특히 20대 중반~30대 중반 연령대에서 채무가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학업과 구직, 결혼 등의 단계에서 빚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고금리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소득은 1863만원이었다. 30대가 평균 1992만원으로 가장 소득이 높았다. 40~50대의 경우 연소득은 적고 부양가족 수(평균 2.2명)는 많아 대출 부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직업별로 보면 다중채무자의 63.5%가 급여소득자였으며 자영업자 비중은 30.6%였다. 특히 연령대별 자영업자 비중은 20대(11.6%) 30대(24.3%) 40대(42.9%) 50대(47.9%) 60대 이상(48.6%) 등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다. 임시·계약직은 4.4%이며 나머지 1.5%는 기타·무직 등으로 구분됐다.

급여소득자의 평균 연소득은 2089만원으로 조사됐으며 임시·계약직은 1744만원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의 평균 연소득은 1418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특히 자영업자 중 연소득이 1200만원 이하(월소득 100만원 이하)인 비중은 무려 52%나 됐다.

◆“다중채무 통합·관리 시스템 절실”

다중채무자들이 얻어 쓴 빚의 평균 이자율은 무려 연 4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 40% 이상 비중이 55.8%였으며 ‘30% 이상~40% 미만’이 32.8%, ‘20% 이상~30% 미만’이 11.4%로 각각 집계됐다.

이들은 고금리 채무를 저금리 대출상품으로 전환해주는 캠코의 바꿔드림론을 신청한 후에도 연간 348만원(월 29만원)을 빚 갚는 데 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득의 20%가량을 대출 원리금 상환에 고스란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저금리 전환대출을 신청한 금액은 평균 1008만원이었다. 캠코 관계자는 “대부분의 채무자가 대부업체와 저축은행, 캐피털사, 카드사 등 2~3곳 이상에서 동시에 대출받은 사람들이어서 대출금에 비해 금리 부담이 큰 편”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다중채무자들의 나이와 소득, 부양가족 수, 신용등급 등에 따라 서민금융 지원 방안도 구체적으로 세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다중채무자 채권 통합·관리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됐다. 양준호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은행권뿐만 아니라 저축은행, 캐피털사, 대부업체 등 여러 금융회사에 흩어진 다중채무를 통합·관리해야 효율적인 정책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다중채무자

은행뿐만 아니라 저축은행, 캐피털사, 대부업체 등 여러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려 쓴 사람. 보통 3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사람을 일컫지만 상환능력에 따라 2곳 이상인 경우도 해당된다. 자영업자 및 저소득·고령층 등과 함께 가계부채 문제의 3대 위험군으로 꼽힌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