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계를 오염시키는 중국 지도층의 부정부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후진타오 주석 등 중국 최고 지도자의 친인척이 국영기업을 경영하거나 이권에 개입하며 부를 축적하는 ‘태자상(太子商) 부패’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리펑 전 총리의 딸은 중국 전력회사 대표, 우방궈 전인대 위원장 아들은 광둥핵발전그룹투자펀드 회장 등 중국 재계의 요직엔 소위 태자상으로 불리는 권력층의 친인척이 차지하고 있고, 이들은 권력을 배경으로 시장을 독점하거나 이권의 거간꾼이 돼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있다고 영국 FT 등이 폭로했다. 올해 초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보시라이 전 충칭시 서기가 해외에 빼돌린 돈은 드러난 것만 1조800억원에 달할 정도다. 부정부패 때문에 외국으로 도망간 공무원이나 공직자는 2만명이 넘고 유출자금 규모가 180조원에 이른다는 보고도 있다.
중국의 부정부패는 사회구조 속에 깊숙이 뿌리를 박고 있다. 중국은 공산혁명 이후 군이나 공산당이 각종 사업을 독자적으로 수행했고, 이 과정에서 각 기관은 이권을 챙겨왔다. 심지어 밀수까지 자행하는 등 부정부패는 일반화됐다. 톈안먼 사건은 부정부패 척결 요구에서 시작됐을 정도다. 주룽지 총리가 각 단위의 직접적인 사업수행을 금지시킨 2000년대 초반부터 권력자들의 축재는 조직이 아닌 친인척을 통해 이뤄지기 시작했다. 후 주석 아들이 공항검색시스템 공급권을 가진 회사를 차리고, 장쩌민 전 국가주석 아들이 상하이연합투자대표란 명함을 가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촘촘한 부패 사슬에서 자유로운 기업은 없다. 다임러그룹 지멘스 월마트 등 유명한 다국적 기업들까지 중국에서 뇌물공여 혐의로 적발됐다. 이들 회사가 중국 아닌 다른 나라에서 부패에 연루된 사례를 찾기란 매우 어렵다. 부패가 만연한, 부패 안 하기 힘든 중국이다. 여기서 기업활동을 하는 것은 그 자체로 리스크다. 한국 기업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물론 공직자 재산등록제가 논의되는 등 자정노력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아직은 기대난이다. 10월로 예정된 최고지도부 교체가 단지 태자상의 바통터치로 전락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외국 기업조차 기어이 타락시키고마는 부패의 단맛을 중국은 잊길 바란다.
중국의 부정부패는 사회구조 속에 깊숙이 뿌리를 박고 있다. 중국은 공산혁명 이후 군이나 공산당이 각종 사업을 독자적으로 수행했고, 이 과정에서 각 기관은 이권을 챙겨왔다. 심지어 밀수까지 자행하는 등 부정부패는 일반화됐다. 톈안먼 사건은 부정부패 척결 요구에서 시작됐을 정도다. 주룽지 총리가 각 단위의 직접적인 사업수행을 금지시킨 2000년대 초반부터 권력자들의 축재는 조직이 아닌 친인척을 통해 이뤄지기 시작했다. 후 주석 아들이 공항검색시스템 공급권을 가진 회사를 차리고, 장쩌민 전 국가주석 아들이 상하이연합투자대표란 명함을 가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촘촘한 부패 사슬에서 자유로운 기업은 없다. 다임러그룹 지멘스 월마트 등 유명한 다국적 기업들까지 중국에서 뇌물공여 혐의로 적발됐다. 이들 회사가 중국 아닌 다른 나라에서 부패에 연루된 사례를 찾기란 매우 어렵다. 부패가 만연한, 부패 안 하기 힘든 중국이다. 여기서 기업활동을 하는 것은 그 자체로 리스크다. 한국 기업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물론 공직자 재산등록제가 논의되는 등 자정노력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아직은 기대난이다. 10월로 예정된 최고지도부 교체가 단지 태자상의 바통터치로 전락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외국 기업조차 기어이 타락시키고마는 부패의 단맛을 중국은 잊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