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오는 7월2일 19대 국회 의장단을 선출키로 하는 등 개원에 합의한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임기 시작 33일 만이다.

막판 쟁점이었던 민간인 불법사찰은 새누리당이 위원장을 맡아 국정조사를 하고, 언론사 파업 사태와 관련한 청문회는 해당 상임위인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차원에서 실시하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문제는 특검으로 가닥을 잡았다.

상임위원장은 새누리당 10개, 민주통합당 8개로 나눴다. 민주당은 법사 교과 농림수산 지경 환노 여성 등 기존 6개 상임위원장 외에 국토해양위원장과 보건복지위원장을 가져갈 전망이다.

김기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와 박기춘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저녁 최종 개원 협상을 갖고 이같이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석부대표는 브리핑에서 “최종 합의문을 만들어 29일 의원총회를 열어 확정할 것”이라며 “늦어도 내주 초에 개원할 계획으로 협상을 사실상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김 수석부대표는 합의 사항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협상 내용을 일일이 알리는 것은 신뢰 정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답변을 피하면서도 “이한구 원내대표가 요청해 연 최고위원회의에서 원내 대표단의 협상 결과를 존중하기로 했다”고 말해 사실상 합의안을 수용했음을 내비쳤다.

새누리당 핵심 당직자는 “민주당이 요구한 민간인 불법 사찰과 언론사 파업 문제 중 한 건만 국정조사를 하기로 했다”며 “국토해양위원장은 민주당이 가져가기로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민주당 핵심 당직자도 “민간인 불법 사찰은 국정조사로 하고, 언론사 파업은 해당 상임위(방송통신위)에서 논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여야가 이같이 개원에 합의한 것은 “19대 국회도 식물국회”라는 국민 여론을 받아들인 결과로 분석된다. 또 대법관 인사 청문회가 계속 연기되면서 대법관 임용이 늦어질 경우 쏟아질 비난 여론을 의식한 것도 여야 합의에 작용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