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41% 이직 고충 토로 “이직 실패한 이유는?”
[김희정 기자] 최근 이직을 고민하는 직장인들이 많지만, 기대만큼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다.

이와 관련해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이직 경험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직장인 1,577명 중 41%가 ‘이직은 실패한 선택이었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이직, 실패한 이유는?
직장인들은 이직에 실패한 가장 큰 이유로 ‘근무조건이 기대했던 것과 달라 실망’(50.3%, 복수응답)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어 ‘연봉 조건이 기대 이하라서’(33.7%), ‘회사의 비전이 없어서’(31.9%), ‘나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28.3%), ‘업무 내용이 기대에 못 미쳐서’(20.7%), ‘기업 문화에 적응하기 어려워서’(15.2%), ‘동료들과 업무 스타일이 맞지 않아서’(14.4%), ‘새 업무에 적응하기 어려워서’(7.7%) 등이 있었다.

이직으로 인해 잃은 것은?
이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러운 연봉’(43.4%,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열악한 근무환경’(40.3%), ‘부족한 복리후생 혜택’(34.7%), ‘원치 않는 업무 담당’(30.8%), ‘잘 안 맞는 기업 문화’(29.1%)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절반 이상인 61.3%는 이직 전 직장이 더 나았다고 생각했으며, 41%는 이직을 후회해 1년 이내 조기 퇴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당시, 가장 중요했던 조건은?
직장인들은 ‘연봉’(23.5%)을 첫 번째로 꼽았지만, 이직 실패 후에는 ‘기업 문화, 조직 분위기’(38.2%, 복수응답)가 중요해졌다고 답했다.

성공적인 이직을 위해 필요한 것은?
상당수의 직장인이 성공적인 이직을 위해서 ‘연봉, 안정성 등 뚜렷한 이직 목표 설정’(59.9%)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뒤이어 ‘본인의 경력관리에 맞춰 이직 결정’(14.1%), ‘전 직장에서의 성과 및 노하우 축적’(9.4%) 등이 있었다.

이직을 고려할 때 막연한 기대감에 선택한 이직은 실패할 확률이 더 높다. 따라서 자신의 현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함께 옮기려는 기업의 조건을 꼼꼼히 따져본 후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포레스트그린, 갤럭시S3 베이직 케이스 출시
▶20일, 전국 택시 파업 “시민들 불편, 어떻게 최소화 하는데?”
▶목숨걸고 목욕하기 "평생 못 씻는 꼬리엔 힘을 빡!" 파이리의 패기
▶12년 만에 최고 더위, 서울 33.5도 기록! ‘전력 예비율 6%대로 하락’
▶21일 ‘정전대비 위기대응 훈련’ 실시 “가전제품 사용 중지, 사무실은 조명 소등”
[WSTAR관련슬라이드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