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불안 겨울까지 계속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전력 수급 비상대책
예비전력 크게 떨어져 신규 발전소 조기 건설
노후 발전소 가동 중지 미뤄
예비전력 크게 떨어져 신규 발전소 조기 건설
노후 발전소 가동 중지 미뤄
지난달부터 이어지고 있는 전력난이 올겨울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는 추가 예비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단기간에 준공할 수 있는 신규 발전소를 조기 건설하고, 노후 발전소의 가동 중지 시기를 미루기로 했다.
○올가을 예비전력도 간당간당
지식경제부는 이 같은 내용의 ‘향후 전력수급 전망과 대책’을 20일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올 8월까지 수요 관리 등 조치가 없을 경우 예비전력이 400만㎾를 밑돌 전망이다. 하루 전력 공급 대비 여유분이 5%에 머물러 비상 상황이 계속되는 것이다.
전력난은 가을과 겨울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정부의 예상이다. 겨울철에 대비해 다수의 발전소들이 예방정비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지난 5월 하계 전력수급 대책을 발표하면서 9대 화력발전소 예방정비를 미룬 탓에 가을철 예비전력은 300만~500만㎾로 여름철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통적으로 전력 수요가 가장 많은 겨울에는 최저 예비전력이 93만㎾로 떨어지는 등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다.
이 같은 비상 상황은 지난달부터 계속되고 있다. 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전력 수요가 예년보다 300만㎾ 정도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 25도 이상 고온인 날이 8일에 그쳤지만, 올해는 18일로 늘었다. 통상적으로 기온이 1~2도 오르면 전력 수요는 150만㎾ 증가한다. 이달 들어서는 순간 예비전력이 지난해 9·15 정전사태 때보다 낮은 316만㎾까지 떨어질 정도로 전력 수급이 악화됐다.
전력 공급 부족이 심화하는 이유는 당초 계획한 발전설비 준공이 미뤄졌기 때문이다. 지자체 및 주민들의 반대로 서울복합화력발전소 1·2호기, 양주복합화력발전소 1호기 등 올해 예정이던 450만㎾의 발전설비 준공이 지연되거나 취소됐다. 여기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 때문에 전력 과소비 패턴이 개선되지 않는 것도 한 이유다. 정부가 지난달부터 산업체 수요 관리를 통해 150만~200만㎾를 줄이고 있지만 역부족인 이유다.
○2014년부터는 공급 확대로 전력난 완화
정부는 신규 발전소가 지어지는 2014년까지는 전력 공급이 빠듯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단기간에 준공할 수 있는 신규 발전소를 조기 건설할 계획이다. 올해 폐쇄가 예정된 노후 발전소도 시점을 미루기로 했다. 이를 통해 총 449만㎾를 추가로 확보하는 게 목표다. 올해와 내년에 걸쳐 폐쇄 및 긴급 건설이 예정된 서울 4·5호기, 평택 1~4호기, 인천 1·2호기 등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기존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변경할 예정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신고리 4호기, 영흥 6호기 등 총 1016만㎾ 규모의 신규 발전소가 건설되는 2014년까지 전력 부족 상황은 연중 상시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본격적인 휴가가 시작되는 다음달부터 산업계 휴가 조정을 통해 예비전력 100만~200만㎾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조업을 분산해 수요를 관리한다는 목표다. 또 산업체, 구역전기 사업자 등 민간 보유 발전기를 최대한 가동하고 피크시간에는 비싸지만 설비 고장을 덜 내는 고열량탄을 최대한 사용하기로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올가을 예비전력도 간당간당
지식경제부는 이 같은 내용의 ‘향후 전력수급 전망과 대책’을 20일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올 8월까지 수요 관리 등 조치가 없을 경우 예비전력이 400만㎾를 밑돌 전망이다. 하루 전력 공급 대비 여유분이 5%에 머물러 비상 상황이 계속되는 것이다.
전력난은 가을과 겨울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정부의 예상이다. 겨울철에 대비해 다수의 발전소들이 예방정비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지난 5월 하계 전력수급 대책을 발표하면서 9대 화력발전소 예방정비를 미룬 탓에 가을철 예비전력은 300만~500만㎾로 여름철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통적으로 전력 수요가 가장 많은 겨울에는 최저 예비전력이 93만㎾로 떨어지는 등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다.
이 같은 비상 상황은 지난달부터 계속되고 있다. 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전력 수요가 예년보다 300만㎾ 정도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 25도 이상 고온인 날이 8일에 그쳤지만, 올해는 18일로 늘었다. 통상적으로 기온이 1~2도 오르면 전력 수요는 150만㎾ 증가한다. 이달 들어서는 순간 예비전력이 지난해 9·15 정전사태 때보다 낮은 316만㎾까지 떨어질 정도로 전력 수급이 악화됐다.
전력 공급 부족이 심화하는 이유는 당초 계획한 발전설비 준공이 미뤄졌기 때문이다. 지자체 및 주민들의 반대로 서울복합화력발전소 1·2호기, 양주복합화력발전소 1호기 등 올해 예정이던 450만㎾의 발전설비 준공이 지연되거나 취소됐다. 여기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 때문에 전력 과소비 패턴이 개선되지 않는 것도 한 이유다. 정부가 지난달부터 산업체 수요 관리를 통해 150만~200만㎾를 줄이고 있지만 역부족인 이유다.
○2014년부터는 공급 확대로 전력난 완화
정부는 신규 발전소가 지어지는 2014년까지는 전력 공급이 빠듯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단기간에 준공할 수 있는 신규 발전소를 조기 건설할 계획이다. 올해 폐쇄가 예정된 노후 발전소도 시점을 미루기로 했다. 이를 통해 총 449만㎾를 추가로 확보하는 게 목표다. 올해와 내년에 걸쳐 폐쇄 및 긴급 건설이 예정된 서울 4·5호기, 평택 1~4호기, 인천 1·2호기 등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기존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변경할 예정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신고리 4호기, 영흥 6호기 등 총 1016만㎾ 규모의 신규 발전소가 건설되는 2014년까지 전력 부족 상황은 연중 상시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본격적인 휴가가 시작되는 다음달부터 산업계 휴가 조정을 통해 예비전력 100만~200만㎾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조업을 분산해 수요를 관리한다는 목표다. 또 산업체, 구역전기 사업자 등 민간 보유 발전기를 최대한 가동하고 피크시간에는 비싸지만 설비 고장을 덜 내는 고열량탄을 최대한 사용하기로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