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되는 미국의 각종 경제지표는 중앙은행(Fed)이 경기 진작을 위해 모종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당위성과 결국 취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을 점점 높여주고 있다.

11월 대통령선거 최대 이슈이자 Fed가 가장 신경 쓰는 부문인 고용이 지지부진한데다 소비와 판매, 공장 주문 등에서도 활기라고는 찾아볼 수 없기 때문. 게다가 유동성 확대에 따른 후폭풍으로 우려되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거의 없다시피한 상황이다.

유가 등 에너지 비용이 큰 폭으로 내려가면서 소비자·생산자·수입물가가 안정되다 못해 마이너스(-) 현상까지 보이고 있다.
이들 통계나 수치를 보면 Fed가 경기 부양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제시하는 요건에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는 셈이다.

Fed는 오는 19~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동에서 시중 유동성을 확대하기 위한 3차 양적완화(QE3) 시행,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연장 여부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미국 노동부가 14일(현지시간) 발표한 바에 따르면 고용 지표의 하나인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되레 증가해 시장에 충격을 줬다.

지난주(4~9일) 실업수당 청구는 계절조정 수치로 38만6000건을 기록해 전주의 수정치인 38만건보다 6000건 늘었다. 큰 폭으로 늘어난 건 아니지만, 37만5000건으로 떨어질 것이라던 시장 전문가들의 예측은 완전히 빗나간 셈이다.

경기 회복과 사업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이 불필요한 인력을 정리하는 반면 추가 고용은 꺼린다는 것이다.

그나마 꾸준하게 떨어지던 월 실업률이 5월 8.2%로 다시 올라가고 신규 고용도 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발표 직후인 지난주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반짝 감소하면서 일었던 노동시장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이날 발표로 다시 사그라졌다.

다른 경제지표를 봐도 경제는 좀체 나아질 기미가 없다.

상품이 잘 팔리지 않고, 그러다 보니 주문·재고 자체를 꺼리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미국의 소매판매는 1월 0.6%, 2월 1.1%, 3월 0.7%로 꾸물꾸물 살아나는 듯하다가 4월과 5월 연이어 0.2% 감소하면서 뒷걸음질을 쳤다. 제조업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공장주문 실적도 뚝 떨어졌다. 4월 공장 주문도 전달보다 0.6% 줄었다.

그나마 미국 경제 회복을 견인하던 자동차, 기계, 컴퓨터 등을 포함한 모든 부문의 수요가 미끄러지면서 공장 주문도 급격히 위축됐다.

대내외 악조건이 겹쳐 시장 전망 자체가 불투명하지만, 물가는 안정되다 못해 떨어지기까지 한다. 올해 들어 1월 0.2%, 2월 0.4%, 3월 0.3%로 3개월 연속 조금씩이나마 상승세를 타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월 0%를 기록하더니 5월 급기야 마이너스(-)로 돌아서 0.3% 하락했다.

이처럼 물가상승 압력이 떨어지면서 Fed의 운신의 폭은 넓어졌다.

벤 버냉키 Fed 의장은 최근 의회에서 "필요하면 움직일 준비가 돼 있다"는 원칙적 발언만 되풀이하면서 시장에 거의 '힌트'를 주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이 움직일 시기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