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깡패국가'로 규정…"도발엔 보상 대신 응징해야"
한국의 디지털 혁명에 큰 인상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확정된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는 선거운동과정에서 `경제 대통령'을 부각시키고 있지만 외교ㆍ안보 문제에 대해 많은 말을 쏟아내지 않았다.

하지만 대외정책에서는 강경 보수 노선을 내세우고 있고, 북한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도 강경한 대북정책을 천명하고 있다.

롬니는 북한을 이란, 쿠바, 베네수엘라 등과 함께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깡패국가'(rouge nation)라고 규정한데서도 그 인식을 읽을 수 있다.

지난해 11월 롬니 캠프가 발표한 '외교정책 백서'는 "과거 미국의 대북정책의 가장 큰 실수는 일련의 당근을 북한에 제공하면서 환상에 불과한 협력을 대가로 얻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라며 "롬니는 그 같은 패턴의 다이내믹을 바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백서는 "북한이 핵프로그램을 게속 추진하거나 도발행동을 취할 경우 보상 대신에 응징을 가할 것이라는 점을 북한에 분명히 보여줄 것"이라고 롬니의 대북정책관을 소개했다.

백서는 대북 금융제재의 강화를 정책수단으로 강조했고, 중국을 대북정책의 지렛대로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롬니는 지난해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사망했을 때 성명을 통해 "북한 주민들은 길고 잔인했던 국가적 악몽 속에서 고통을 받고 있다"면서 "김정일의 죽음이 이를 종식시키는 것을 앞당기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2009년 한 연설에서 "오만하고 기만적 독재자들을 정직한 말이나 찡그린 얼굴로 제지할 수는 없다"면서 "힘과 결단력을 바탕으로 한 강력하고도 과감한 행동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억지력이 된다"고 강력한 대북대응을 촉구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대북 강경파인 존 볼턴 전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롬니를 돕고 있다는 점도 롬니가 대통령으로 당선될 경우 대북정책의 방향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롬니의 외교안보 자문역을 맡고 있는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실장은 지난 1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6자회담에서 어떤 의제가 논의될 수 있는지 모르겠다.

북한을 협상테이블로 불러낼 수 있고 그들에게 식량지원 등 뇌물을 줄 수도 있겠지만 정작 테이블에 앉으면 무슨 얘기를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리스 전 실장은 "북한이 핵 보유국 지위를 인식 시키려고 하는 것 외에 미국에 뭘 말하고 싶은건지 모르겠다"며 6자회담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북한 체제 전망에 대해 "과거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하고 한국의 대통령 2명이 엄청난 경제지원을 하면 북한이 문을 열 것이라고 믿었지만 그런 시절은 갔다"고도 말해 롬니 캠프 외교팀의 인식을 반영했다.

리스 전 실장은 "북한이 김정은 권력승계로 불확실성에 맞닥뜨린 상황이므로 롬니가 대통령이 되면 국방지출을 늘릴 것"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과의 강력한 동맹을 유지하면서 한국이 북한을 억지할 수 있는 군사.정보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롬니는 지난 2005년 주지사 시절 한국을 방문한 바 있고, 기업인으로서 방한한 경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경제성장을 잘 알고 있고, 특히 한국의 디지털 혁명에 큰 인상을 받았으며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한국에 대해 훨씬 많이 알고 있다"는게 리스 전 실장이 소개하는 롬니의 한국관이다.

(워싱턴연합뉴스) 성기홍 특파원 sg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