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관련 증거인멸 의혹 사건을 재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2일 오전 박영준(52)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총리실 국무차장으로 재직할 당시 비서관이었던 이모씨의 주거지와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이에 앞서 검찰은 이씨를 한차례 소환해 조사했다.

박 전 차관은 지난 2010년 1차 수사 때 압수수색을 앞둔 7월 7일 최종석(42ㆍ구속기소) 전 청와대 행정관의 '대포폰'에 전화를 건 정황이 알려져 민간인 사찰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검찰은 당시 박 전 차관이 최 전 행정관과 통화할 때 이씨의 주변인물 명의로 개설된 휴대전화를 사용한 것으로 보고 사찰과 박 전 차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압수수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또 이영호(48ㆍ구속기소)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이 청와대에 들어가기 전 등기이사로 있었던 D업체의 서울 강동구 성내동 사무실과 업체 대표 A씨의 주거지도 압수수색했다.

장진수(39)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건넨 2천만원의 출처 규명 등 이 전 비서관과 관련된 수사에 필요해 D업체를 압수수색했다고 검찰은 설명했다.

A씨는 이 전 비서관과 상당한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은 총리실 특수활동비를 횡령하고 김종익 전 KB한마음 대표에 대한 불법사찰에 관여한 혐의로 구속한 진경락(45)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을 기소해 재판에 넘겼다고 이날 밝혔다.

검찰이 진 전 과장에게 적용한 혐의는 업무상 횡령, 강요, 업무방해, 방실수색 등 4개다.

검찰에 따르면 진 전 과장은 2008년 9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매달 총리실 특수활동비 400만원 중 280만원을 빼돌려 총 18차례에 걸쳐 5천160만원을 청와대에 상납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지난 2008년 이인규(56)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의 지시에 따라 김 전 대표를 협박해 대표이사직을 사임하도록 강요하고 공직윤리지원관실 직원들에게 김 전 대표의 사무실을 수색하게 하는 등 김 전 대표 사찰에 관여한 혐의도 받고 있다.

당시 진 전 과장은 사건을 점검팀에 배당하고 사찰 내용을 취합하는 등 이 전 지원관과 함께 불법사찰 과정을 적극적으로 주도했다고 검찰은 밝혔다.

또 그는 이 전 지원관의 지시에 따라 이영호 전 비서관에게 김 전 대표에 대한 내사 진행사항과 조치 계획 등을 보고하고 이 전 비서관의 지시사항을 공직윤리지원관실에 전달했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현재 검찰은 진 전 과장이 김 전 대표 사찰 이외에 다른 사건에도 개입한 정황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ri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