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이중나선 모양의 DNA 한 가닥만을 부작용 없이 자르는 ‘유전자가위(engineered nuclease) 기술’을 개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김진수 서울대 화학부 교수(사진) 연구팀이 세포독성, 돌연변이 등의 부작용 없이 DNA 두 가닥 중 하나만을 자르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유전체 분야 학술지 ‘게놈 리서치(Genome Research)’에 게재됐다.

유전자가위는 인공 효소를 이용해 특정 염기서열(DNA 표적자리)만을 절단하는 기술이다. 유전자 교정, 뒤집어진 유전자 원상 복구 등 질병 치료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외부에서 넣은 유사 DNA를 이용해 유전자를 정교하게 교정하면서도 다른 장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한 첫 사례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팀이 지난 2월 DNA 한 가닥만을 자르는 기술을 발표했지만 다른 장소의 변이 여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입증하지 못했다.

김 교수는 유전자가위와 관련된 대량 합성 기술, 돌연변이 세포 선별 방법, 혈우병 유전자 교정 기술 등을 개발, 지난해 과학전문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메소드(Nature Methods)’가 선정한 ‘올해의 기술’에 선정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유전자와 줄기세포 치료뿐만 아니라 에이즈, 혈우병과 같은 난치성 질환 치료에 활용할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