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동해와 서해에서 일렁이는 파고(波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지도에 일본해를 단독표기할 것이냐, 아니면 동해(East Sea)를 함께 쓸 것이냐를 결정하는 국제수로기구(IHO) 총회가 23일 모나코에서 5일 일정으로 시작됐다. 한국은 80개 참가국 중 미국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16명을 파견, 동해 병기를 위한 총력전에 들어갔다는 소식이다. IHO가 해도(海圖)의 기준 책자로 펴내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는 일제강점기에 두 번, 한국전쟁 중인 1953년 3판이 발간돼 한국의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4판 개정작업은 1986년 시작됐지만 한국과 일본의 대립으로 발간이 연기돼 왔다.
동해를 세계지도에 공식 지명으로 쓰는 것은 우리에겐 사활적 이해가 걸린 일이다. 노무현 정권 당시의 소위 ‘동북아 균형자론’만 해도 그렇다. 한국을 중심에 놓는 동북아 신질서가 가능하려면 우선 해양에 대한 확고한 안보가 있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미·중·일·러 등 4대 강대국에 둘러싸인 한국 외교의 숙명적 과제는 바다를 온전히 제 것으로 지키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래야 독립자존하는 균형자로서의 역할도 가능하다. 자신의 의지대로 영해의 이름을 짓지 못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동해를 세계지도에 공식지명으로 등재하는 것이 단순한 자존심의 문제일 수 없는 이유다. 제주 해군기지도 같은 맥락이다. 지난 22일부터 중국 산둥성 칭다오 앞바다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사상 처음으로 합동 해상훈련을 벌이고 있다. 인천의 새벽 닭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칭다오다. 더구나 마라도 서남쪽 149㎞에 위치한 이어도를 중국은 자국 관할이라고 우기는 상황이다. 우리 과학연구기지가 설치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곳이다. 위협받고 있는 서해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 강정마을의 해군기지는 반드시 필요하다.
북한과 중국에 대해 입도 뻥끗하지 못하는 종북세력들이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것은 그 어떤 명분으로도 가리기 어려운 자기부정의 매국노선에 불과하다. 동해는 동해로, 서해바다는 서해바다로 원형대로 지켜져야 한다. 대한민국의 그 어떤 미래전략도 위협받고 있는 주권을 확고하게 지키는 것에 그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