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내달 초 발사될 북한의 장거리 로켓 ‘광명성 3호’의 개발 비용이 8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26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장거리 로켓 개발 비용은 8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된다" 며 "이번 장거리 미사일 개발과 발사에 드는 천문학적인 비용은 기아와 굶주림에 허덕이는 북한 주민들의 식량난을 해결할 수 있는 비용이라는 것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또 "북한의 로켓 발사 움직임은 국제사회에 대한 중대한 도발행위이자 도전" 이라며 "북한이 예고한 장거리 로켓의 궤도가 정상궤도를 벗어나 우리 지상에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 궤도 추적과 요격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군의 요격 위치에 대해 "기본적으로는 1차 추진체가 떨어지는 지점" 이라며 "로켓이 예상궤도에서 벗어날 경우를 대비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이지스 구축함인 세종대왕함(7600t급)과 율곡이이함 등 2척을 서해상에 배치해 북한의 장거리 로켓의 궤적을 추적하고 필요시 탑재된 사거리 170km의 SM-2 함대공 미사일로 요격할 계획이다.

이지스 구축함은 1000㎞ 이내의 모든 비행물체를 탐지 추적할 수 있는 SPY-ID(V)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이 우리 영토 가까운 곳으로 낙하하면 사거리 30여km의 PAC-2 패트리엇 미사일 등으로 요격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 24일까지 장거리 로켓 동체를 1, 2, 3단으로 분리해 발사기지인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로 운반해 조립 중이며, 내달 초 50m 높이의 발사대에 장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