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의원 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공약이 규제강화 측면에서 국내 주식시장에 부정적이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상재 현대증권 연구원은 26일 분석보고서에서 "여·야 정당이 내세우고 있는 공약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출자총액 제한제도 재부활 및 순환출자 금지"라며 "이는 그룹의 지주회사 체제를 가속화시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 경우 장기적으로 기업의 투명성을 강화시키는 긍정적 요인과 단기적으로는 기업지배구조 변화에 따른 혼선, 기업 내부현금이 지배구조강화를 위해 소요된다는 부정적인 요인이 혼재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3년 간의 유예기간 등을 고려할때 단기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 밖에 건강보험 보장 강화 등에 대한 사회보장제도의 강화와 통신비 인하와 같은 물가 안정 및 서민생활 지원,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 인하 및 주식 양도차익세 도입 등 세수확대 등도 기업에 영향을 미칠 공약으로 꼽았다.

업종별 영향으로는 총출제 부활과 관련해 기존 지주회사 주가에는 긍정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대그룹 집단의 2세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그룹사별로 일부 피해 기업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업종의 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 자동차부품 업종의 현대모비스 현대차 기아차가 그 대상이다.

통신서비스 업종은 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를 피해주로 분류했고, 대형마트 점포 출점 제한으로 이마트롯데쇼핑도 예상 피해주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게임 산업 규제와 선거관련 광고 매출 증가로 NHN 다음 등 인터넷게임 업종은 이번 총선에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대부분의 선거공약이 유권자들의 경제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점을 감안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선거공약이 긍정적이기 보다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며 "하지만 공약이 법률을 통해 제도화되는 시기와 법률의 시행시기를 감안하면 효과는 단기적이라기 보다 장기에 걸쳐 나타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