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지분 20~30% 우선매각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내 민영화…나머지 지분 2~3년간 블록세일
MBK·국민·산업은행 인수 참여 가능성
MBK·국민·산업은행 인수 참여 가능성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작업에 돌입했다. 최근 대우증권 등 종전 매각주관사와 계약을 연장한 데 이어 구체적인 매각 조건을 놓고 조율하기 시작했다. 작년 하반기 두 번째 매각 작업이 실패한 지 7개월여 만이다.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최근 간부들에게 “만약 내년에 우리금융 경영진이 바뀌면 11년간 끌어온 민영화가 또 지연될 수 있다”며 “연내 반드시 마무리짓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지분 ‘20%+α’ 변경 검토
정부 관계자는 “올해 국회의원과 대통령 선거가 있는 만큼 우리금융을 매각하기 위해 법이나 시행령을 바꾸는 게 쉽지 않다”며 “현행 법 테두리 내에서 대주주를 찾아주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18일 말했다.
정부는 우선 우리금융의 최소 매입지분을 종전 30%에서 20%대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작년엔 우리금융의 정부 지분 56.97%(4억5918만주) 중 30% 이상 매입하도록 한 탓에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곳이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 한 곳에 불과했다.
당시 우리금융 주가(1만1000원 선)에다 경영권 프리미엄 30%를 얹어 계산할 때 최소 3조5000억원이 필요했다. 올해 역시 같은 기준을 적용할 경우 주가상승에 따라 4조2000억원 이상이 필요하다.
금융계에선 최소 매입지분을 20%로 낮추면 프리미엄 30%를 감안해도 2조8000억원(16일 주가 1만3400원 기준) 정도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나머지 지분을 2~3년에 걸쳐 블록세일(장마감 후 대량매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새 대주주의 경영권을 보장해주기 위해서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 대주주가 우리금융 지분 20~30%만 갖고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선 나머지 지분을 철저하게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며 “블록세일 과정에서 대주주 우호세력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사모펀드·은행 등 인수후보 거론
공자위는 우리금융을 분리 매각하지 않고 통째로 판다는 방침이다. 대주주가 우리금융을 인수한 다음 일부 자회사를 순차적으로 매각해 자본을 회수하는 길을 열어주기로 했다. 김석동 위원장은 “일단 일괄 매각한 다음 인수자가 분리해 팔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3차 매각시도 때의 인수 후보로는 사모펀드와 대형 은행이 거론되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작년에 구성한 컨소시엄을 바탕으로 또다시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알려졌다. MBK 측에 참여했던 한 금융회사 대표는 “작년 우리금융 매수의사를 보인 3개 펀드 중 MBK의 자본력과 실행 계획이 월등했다”며 “당시 컨소시엄이 그대로 재가동될 수 있다”고 전했다. 막판에 인수 의사를 철회했던 티스톤파트너스의 민유성 회장은 “정부가 펀드에 우리금융을 넘길 의사가 진짜 있는지를 확인한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은행 산업은행 등 자본력이 풍부한 대형 은행들이 참여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김 위원장은 이와 관련, “KB금융이나 산은금융에도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행법상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를 인수하려면 95% 이상의 지분을 사들여야 하는데, 은행의 경우 이런 규제에서 자유롭다. 지주사가 직접 나서지 않고 국민은행이나 산업은행을 통한 우회 인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조재길/류시훈 기자 road@hankyung.com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최근 간부들에게 “만약 내년에 우리금융 경영진이 바뀌면 11년간 끌어온 민영화가 또 지연될 수 있다”며 “연내 반드시 마무리짓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지분 ‘20%+α’ 변경 검토
정부 관계자는 “올해 국회의원과 대통령 선거가 있는 만큼 우리금융을 매각하기 위해 법이나 시행령을 바꾸는 게 쉽지 않다”며 “현행 법 테두리 내에서 대주주를 찾아주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18일 말했다.
정부는 우선 우리금융의 최소 매입지분을 종전 30%에서 20%대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작년엔 우리금융의 정부 지분 56.97%(4억5918만주) 중 30% 이상 매입하도록 한 탓에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곳이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 한 곳에 불과했다.
당시 우리금융 주가(1만1000원 선)에다 경영권 프리미엄 30%를 얹어 계산할 때 최소 3조5000억원이 필요했다. 올해 역시 같은 기준을 적용할 경우 주가상승에 따라 4조2000억원 이상이 필요하다.
금융계에선 최소 매입지분을 20%로 낮추면 프리미엄 30%를 감안해도 2조8000억원(16일 주가 1만3400원 기준) 정도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나머지 지분을 2~3년에 걸쳐 블록세일(장마감 후 대량매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새 대주주의 경영권을 보장해주기 위해서다. 금융권 관계자는 “새 대주주가 우리금융 지분 20~30%만 갖고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선 나머지 지분을 철저하게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며 “블록세일 과정에서 대주주 우호세력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사모펀드·은행 등 인수후보 거론
공자위는 우리금융을 분리 매각하지 않고 통째로 판다는 방침이다. 대주주가 우리금융을 인수한 다음 일부 자회사를 순차적으로 매각해 자본을 회수하는 길을 열어주기로 했다. 김석동 위원장은 “일단 일괄 매각한 다음 인수자가 분리해 팔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3차 매각시도 때의 인수 후보로는 사모펀드와 대형 은행이 거론되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작년에 구성한 컨소시엄을 바탕으로 또다시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알려졌다. MBK 측에 참여했던 한 금융회사 대표는 “작년 우리금융 매수의사를 보인 3개 펀드 중 MBK의 자본력과 실행 계획이 월등했다”며 “당시 컨소시엄이 그대로 재가동될 수 있다”고 전했다. 막판에 인수 의사를 철회했던 티스톤파트너스의 민유성 회장은 “정부가 펀드에 우리금융을 넘길 의사가 진짜 있는지를 확인한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은행 산업은행 등 자본력이 풍부한 대형 은행들이 참여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김 위원장은 이와 관련, “KB금융이나 산은금융에도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행법상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를 인수하려면 95% 이상의 지분을 사들여야 하는데, 은행의 경우 이런 규제에서 자유롭다. 지주사가 직접 나서지 않고 국민은행이나 산업은행을 통한 우회 인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조재길/류시훈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