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안전지대 만들자] "평창 올림픽  개최지 산림을 사수하라"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 주변 산림을 사수하라’

강원도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경기장 주변 산림을 산불로부터 안전하게 지켜내기 위해 ‘특수지역 산불방지 특별대책’을 내놓는 등 만반의 채비를 갖췄다. 특별대책은 횡성 원주 횡성 평창 정선 강릉 등 경기장 주변을 모두 아우르는 8만4213㏊를 ‘동계올림픽 벨트’로 묶어 집중 관리하는 프로젝트다. 세계 최대의 동계 스포츠행사인 올림픽이 만에 하나 산불 때문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동계올림픽 벨트’는 직접 보호구역과 간접 보호구역으로 나뉘어 특별 관리된다. 경기장 시설 중심지인 직접 보호구역 내 절대 보호구역(핵심지역)은 모두 4개 지구 9110㏊다. △알펜시아, 용평리조트(평창군 대관령면 일대) △보광휘닉스파크(횡성군 둔내면, 평창군 봉평면) △중봉지구(평창군 진부면, 정선군 북평면) △강릉 빙상지구(강릉시) 등으로 각각 시설중심지에서 3㎞ 이내의 지역이다.

경기장 접근로 및 가시권역인 간접 보호구역은 총연장 192㎞(7만5103ha)에 이른다. △원주~횡성~평창~강릉을 잇는 영동고속도로 △둔내IC~보광휘닉스 23㎞ △진부IC~정선 숙암 간 34㎞ 구간 등이다.

강원도는 전체 면적의 81%인 136만9000㏊가 산림으로 이루어졌고, 산림가치도 전국의 30%인 21조8000억원에 달하는 등 전국 제1의 산림지역이다. 해마다 산불 피해로 골치를 앓고 있는 산불 취약지역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 자칫 국제행사에 결정적 차질이 빚어질 수 있어 강원도는 온 신경을 집중하고 있다.

강원도는 지난 10년간 총 434건의 중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해마다 43건의 산불이 발생한 셈이다. 2000년 4월에는 사상 최대의 대형 산불이 고성 강릉 동해 삼척을 휩쓸면서 2만3138㏊의 백두대간 산림이 잿더미가 됐다. 2005년 4월 사흘간 강원 양양 산간지방을 휩쓴 산불은 임야 1161㏊와 천년고찰 낙산사를 불태웠다.

동해안 지역은 지형적 특성상 3~4월 높새바람과 불규칙한 계절풍이 발생, 대형 재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임상 특성상 소나무 단순림이어서 낙엽 등 가연물질이 쌓여 있어 초동진화 실패 시 곧바로 대형 산불로 확산되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최근 국립기상연구소와 산림과학원이 함께 만든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강원 영동지방에서 자주 발생하는 대형 산불은 영동지방에 국지적으로 부는 바람인 ‘양간지풍’이 발생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간지풍은 강원 영동지방의 양양과 간성지역에서 부는 국지적 강풍이다. 서쪽에서 불어온 바람이 태백산맥을 넘는 순간 압력이 높아져 강풍으로 바뀌어 산불 발생 시 걷잡을 수 없이 번져나가게 한다. 강원도는 최대의 산불 취약지역인 만큼 올림픽이 경기장 주변에 대한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 우선 이 지역 내에서 산불 발생 시 규모에 관계없이 즉시 현장통합 지위본부를 설치하고 가용자원을 총 동원, 초동진화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감시원 고정배치와 전문예방진화대 전진배치, 위험시기 입산 전면통제, 경기장 주변 산불방지 저감사업 집중 추진 등 타 지역에 비해 강도 높은 예방 및 감시체계를 구축했다. 아울러 보호구역 내 산불 발생 시 규모에 관계없이 헬기진화를 원칙으로 해 헬기를 전진배치했다. 이 밖에 핵심지역 내에는 산불무인감시카메라를 대폭 확충하고 진화차와 기계화시스템 등 진화장비도 모두 전진배치를 끝냈다.

홍성태 강원도 산림정책과장은 “강원도지역은 타지역에 비해 산불 위험성이 매우 높은 만큼 동계올림픽에 대비, 한 단계 높은 예방 및 감시체제를 가동하고 있다”며 “산불없는 안전한 동계올림픽을 기대해도 좋다”고 말했다.

평창=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
[산불 안전지대 만들자] "평창 올림픽  개최지 산림을 사수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