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 육성, 음식점 원산지표시 확대도 치적"

농림수산식품부는 이명박 정부 4년간 정책 성과로 농협 개혁과 식품산업 육성,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확대 등 세 가지를 꼽았다.

농식품부는 27일 '이명박 정부 4년, 농정 성과' 보도참고자료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원자재가격 상승 등 어려움에도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체질 개선과 농어촌 활력 창출, 안전한 농식품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자평했다.

성과로는 우선 50년 만의 농협 개혁을 꼽았다.

이를 통해 농민은 생산에 전념하고 가공과 판매는 농협이 담당하는 체계를 만들었고, 경제 부문의 자본금 확충과 경제사업 활성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다음달 2일 농협은 1중앙회-2지주회사(농협경제ㆍ금융) 체제로 새롭게 태어난다.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여 2010년 식품산업 매출액이 142조원으로 2007년 대비 34조원 증가했고 수출도 지난해 77억달러까지 늘었다.

농식품 수출이 30억달러(1988년) 선에서 40억달러(2008년) 선을 넘기까지 20년이 걸렸지만 50억달러는 불과 3년 만에 넘어섰고 2009년에는 수출액이 일본을 추월했다고 설명했다.

한식 세계화의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확대로 소비자 선택권을 높인 것도 성과로 들었다.

2007년 대형 음식점에 대한 구이용 쇠고기에 적용한 데 이어 2008년 소ㆍ돼지ㆍ닭고기를 대상으로 모든 음식점으로 확대했고 2010년에는 오리고기, 쌀ㆍ배추김치로 추가했다.

오는 4월11일부터는 광어, 우럭, 미꾸라지, 낙지 등 수산물 6종으로 확대된다.

2009년 6월 쇠고기 이력제 도입은 방역 효율성을 높이고 유통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국외농업투자를 활성화해 식량ㆍ산림 문제 해결 능력도 키웠다.

지난해 말 현재 85개 기업이 23개국에 나가 4만2천ha의 국외 농장을 일구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중점과제로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위한 농ㆍ수협 개혁, 농수산물 물가안정과 유통구조 개선, 정예 농업인 양성과 귀농ㆍ귀촌 활성화,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10대 전략품목 중심의 양식산업 육성 등을 들었다.

농협은 안성과 부천에 각각 양곡유통센터와 축산물종합유통센터를 착공하는 등 1조53억원을 신규 투자하고 수협은 5월까지 경제사업 활성화 실천계획을 짠다.

농ㆍ수협 경제사업 활성화에 맞춰 유통을 생산자단체 중심으로 계열화하고, 사이버거래소 매출을 지난해 6천300억원에서 올해 1조원으로 늘려 직거래를 확대한다.

귀농ㆍ귀촌 가구를 작년의 갑절인 2만호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상길 농식품부 1차관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 "(협상) 개시 선언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며 "중국이 갖는 농업 특성을 고려하면 그 영향을 그간의 FTA와 비교하기 힘든(힘들 정도로 큰) 만큼 민감품목을 제외하고 품목별 관세를 협상하는 2단계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차관은 "기존 FTA와는 차원이 달라야 한다.

단계적 협상으로 가야 한다는데 양국이 이해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협상 개시 이후 그런 과정을 거칠 것"이라며 "품목별로 전문가와 농민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prin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