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총재가 올 6월 말 사퇴를 공식화하면서 차기 주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계은행은 국제통화기금(IMF)과 더불어 글로벌 경제질서에 막강한 영향을 미쳐 거물급 인사들이 물망에 오르내린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졸릭 총재 퇴임 후 차기 총재는 미국이 선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성명을 통해 "수주일 안으로 세계은행을 이끌어갈 경륜 있는 최적의 후보를 추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세계은행에 대한 미국의 추가기금 지원 결정을 되짚으며 "미국은 최대 주주로서 세계은행에서 리더십을 지속적으로 발휘해왔다"고 강조했다.

1944년 브레튼우즈 협정 체결로 IMF와 세계은행이 창설된 이후 국제 사회는 유럽에서 IMF 총재를, 미국에서 세계은행 총재를 결정하는 전통을 유지해왔다.

이런 전통을 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세계은행 총재는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바탕으로 이사회에서 선출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강대국들은 비공식 합의를 통해 사실상 단일 후보를 추대하고 있다.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이날 신흥국에서 세계은행 총재가 나올 때가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두 거대 경제기구를 유럽과 미국이 나눠갖는 관행을 비판하며 "세계경제 현실은 과거와 달라졌으며 세계은행 총재를 반드시 특정 국가 출신이 맡아야 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브라질은 중국·러시아·인도와 더불어 브릭스(BRICs) 국가라는 점에서 사상 첫 신흥국 총재를 추대하기 위한 공론화 움직임이 일어날 것인지 주목 받고 있다.

차기 총재 후보로는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로런스 서머스 전 국가경제위원회(NEC) 의장이 거론되고 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지난해부터 세계은행 총재직에 "관심 없다"는 뜻을 밝혔지만 계속해서 유력 후보로 오르내리고 있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클린턴 장관의 입장에 전혀 변화가 없다"며 총재 이동설을 거듭 일축했다.

서머스 전 국가경제위원장은 클린턴 행정부 때 재무장관을 역임했다. 앞서 세계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일한 경험도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