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외국인 매수 10조 넘으면 '코스피 2100' 간다
연초까지 ‘2월 위기설’이 나돌았던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이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다. 그 배경은 뭔지, 앞으로 얼마나 더 들어올 것인지가 최대 관심사다.

올 들어 외국인 자금의 유입 규모는 6조원에 이른다. ‘1월 효과’가 없을 것이라던 예상과 달리 코스피지수가 100포인트 넘게 오른 가장 큰 요인이다. 원·달러 환율도 1120원대까지 급락하면서 올 상반기 중에는 어려울 것으로 봤던 1100원 붕괴가 초읽기에 몰렸다. 원·엔 등 이종통화 환율도 오랜만에 동반 하락하고 있다.

외국인 자금이 많이 유입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해외 시각이 개선되고 있다는 의미다. 신용부도스와프(CDS·credit default swap)와 외평채 가산금리는 작년 말에 비해 하락하고 있다. 국가신용등급도 유로 랜드 회원을 중심으로 ‘강등 도미노’가 이어지고 있지만 한국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오히려 유럽의 피치사로부터는 국가신용등급 전망이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됐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한 국내의 혼탁한 사정에도 불구하고 해외 시각이 개선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무엇보다 유럽위기 이후 해외투자 시 가장 중시하는 재정건전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33% 안팎으로 신흥국 위험수위인 70%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갑작스러운 외국인 자본 유출에 대한 완충능력도 충분히 확보돼 있다. 제1선 자금인 외환보유액은 작년 말 기준으로 3000억달러를 웃돈다. 제2선 자금도 미국 일본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정,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와 국제통화기금(IMF) 쿼터 등을 감안하면 약 1500억달러에 달한다. 가장 넓은 개념인 캡티윤(Kapteyn) 모델에 따라 추정된 한국의 적정외환보유액보다 많은 수준이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외국인 매수 10조 넘으면 '코스피 2100' 간다
‘2월 위기설’도 그렇다. 4년 전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나라 안팎으로 어려울 때마다 고질적 위기설이 나돌았지만 가시화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때마다 위기설에 쉽게 영향받는 일부 국내 투자자와 달리 외국인은 모리스 골드스타인 위기판단지표 등으로 위기설의 실체를 따져 한국에 대한 투자 여부를 결정했다.

관심은 앞으로 얼마나 더 들어올 것인가 하는 점이다. 외국인 자금유입 대비 주가탄력도를 감안해 앞으로 외국인 자금유입 규모가 10조원을 넘으면 코스피지수는 2100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달러 환율도 1100원대는 쉽게 무너지고 1050원 선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대외여건도 비교적 괜찮다. 국채, 모기지증권, 주식, 우량 회사채 등을 활용한 선진국 중앙은행의 다양한 양적완화 정책으로 국제 유동성이 풍부하다. 유럽위기 악화 등으로 마진 콜(margin call·자본부족)에 응하기 위한 디레버리지(deleverage·기존 투자자산 회수)에 따라 국내로 유입된 외국인 자금의 유출 가능성도 줄어드는 추세다.

한국의 내부 투자여건인 재정건전성, 완충자본 확충 능력 등도 단기간에 쉽게 악화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오히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과 같은 한국의 대표기업들이 한국에 대한 해외시각을 개선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 자금의 추가 유입 여부는 정치권을 포함한 한국 정책당국과 국민 손에 달려 있다. 특히 정책당국은 각종 판단지표로 가능성이 낮게 나오는 데도 왜 대외여건이 악화될 때마다 위기설에서 자유롭지 못한가를 곰곰이 따져봐야 한다. 여러 요인 가운데 잦은 정책 변경, 정부에 대한 신뢰 부족, 부정부패 등으로 시스템 위기극복이 지연되는 과정에서 실물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는 데 있다는 것이 국제 금융시장의 시각이다.

문제는 시스템 위기극복이 지연되면 될수록 각종 착시현상에 따른 투기요인이 커지는 대신 위기 불감증이 심화돼 왔다는 점이다. 경제여건이 뒤따르지 않는 고평가 요인이 유럽위기와 같은 사태를 계기로 외자 이탈로 연결될 경우 그동안 극복했다고 보는 외화유동성 위기에 대한 우려가 다시 높아진다. 이것이 ‘위기 재귀설(crisis reflexibility)’의 실체다.

정책당국은 요즘처럼 대외환경이 악화될 때마다 우리사회 내에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위기설을 근본적으로 불식시키고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현실 진단을 토대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이 과정에서 글로벌 공조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과제다.

국민들의 자세도 중요하다. 위기설과 같은 근거 없는 정보에 영합하는 ‘인포 데믹’과 각종 위험을 과다하게 평가하는 ‘리스크 데믹’ 현상이 나타난다면 금융시장은 기초여건과 따로 놀 수밖에 없다. 아무리 기초여건이 건실하다 하더라도 수익률 변수가 심하게 요동친다면 외국인 자금이 추가적으로 들어오기를 기대하는 것은 ‘탐욕’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