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3%대로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수석연구위원과 조규림 연구원은 24일 ‘잠재성장률의 위기’ 보고서에서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추정한 결과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에서 추산한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1989~1997년 7.4%, 1998~2007년 4.7%, 2008~2012년 3.8%다.

보고서는 잠재성장률의 하락 원인으로 △투자 부진 △노동투입력 약화 △수출의 부가가치 파급 효과 하락 △내수부문의 취약 △신(新)성장산업 출현 지연 등을 꼽았다.

주 위원 등은 “잠재성장률의 추가 하락을 막으려면 자본·노동을 확충하고 고부가가치화, 내수 발전,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