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축산업', SK `수면용품제조업' 진출
전문가 "기존사업 무관ㆍ中企영역 침해 경계"

최근 대기업들이 적극적인 기업 인수ㆍ합병(M&A)에 나서고 있는데 대한 시선이 곱지않다.

대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기술력이 뛰어난 중소기업이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보유한 대기업의 손쉬운 먹잇감이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주요 재벌그룹의 계열사 확대 내용을 보면, M&A를 통한 마구잡이식 `기업사냥'이 갈수록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한나라당이 출자총액제한제도(출총제)의 폐지에 따른 부작용 보완을 검토하는 등 정치권에서 재벌개혁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런 점들과 연관이 있다.

◇30대 그룹 M&A 급증…계열사 1천개 돌파
국내 재벌그룹들이 M&A를 통해 계열사를 폭발적으로 늘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돈이 되는 알짜 중소기업이라면 주력 업종과 무관해도 쓸어담는 왕성한 `식욕'을 보였다.

24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자산규모 상위 30대 재벌그룹(공기업 제외)은 2009년 말부터 지난해 말까지 442개 회사를 계열사로 새로 편입했다.

같은 기간 이들의 전체 계열사 수는 975개에서 1천150개로 불어났다.

특히, 30대 재벌그룹은 회사를 새로 설립하기보다 다른 회사를 통째로 사들이거나 지분을 대규모로 취득해 경영권을 장악하는 M&A 방식을 선호했다.

신규 편입 계열사 중 절반에 가까운 211개 회사(47.7%)가 M&A를 통해 재벌그룹에 속하게 됐다.

CJ는 신규 편입한 39개 계열사 가운데 30개사를 M&A로 인수했다.

롯데는 새 계열사 35개 중 21개, GS는 26개 중 16개, LS는 21개 중 16개를 각각 인수했다.

30대 재벌기업의 M&A 건수는 2009년 40개, 2010년 77개, 2011년 94개로 매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간과 비용을 아껴 최대의 효과를 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그룹 관계자는 "M&A를 하면 경쟁력을 빠르게 강화할 수 있다.

외부의 다양한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오픈 이노베이션(개방 혁신)'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고 전했다.

◇주력 사업과 무관해도 돈되면 산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자본과 기술을 각각 공급해 서로 `윈윈'하는 전략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M&A는 일정 수준 이상의 연구개발(R&D)을 위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IT나 바이오 분야에서 순기능을 한다.

예컨대 미국의 IT업체인 구글은 2010년 48개 회사를 인수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57개 회사를 사들여 고성장의 밑거름으로 삼았다.

매년 사상최대 인수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대기업에 제값을 받고 성장기 회사를 넘긴 다음 그 돈으로 다른 사업을 벌이려는 소규모 창업자들도 있다.

대기업들은 M&A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CJ그룹 관계자는 "우리 그룹 사업군은 식품ㆍ식품서비스, 생명공학, 엔터테인먼트ㆍ미디어, 신유통 등 크게 4개가 있다"면서 "핵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각 사업군에 적합한 기업들을 인수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각 그룹의 M&A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주력 사업과 동떨어진 경우도 상당수 있다.

게다가 부동산 임대, 유통업 등 큰 투자를 하지 않고 돈을 쉽게 벌 수 있는 업종에 치우치는 경향도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2009년 1월 축산업 등을 영위하는 서림개발을 인수했다.

효성은 2010년 6월 부동산 임대업체인 오양공예물산을, SK는 같은 달 수면용품 제조업체인 한국수면네트워크를 각각 계열사로 편입했다.

CJ는 지난해 3월 주거용 부동산 관리업체 명성기업을 인수했다.

시너지를 강조하지만, 업종만 놓고보면 연관성이 낮은 사례를 발견하기 어렵지 않다.

임채운 서강대 교수는 "핵심사업에서 벗어난 기업을 인수하면 자금, 역량, 경영자의 관심이 분산돼서 본업의 경쟁력이 오히려 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연구원 주현 중소벤처기업연구실장도 "중소기업 M&A를 상속의 수단으로 삼거나 시너지를 고려하지 않고 기존 사업과 무관한 업종을 무턱대고 M&A 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 전문가는 M&A가 활발하게 이뤄져야 하고 대기업의 M&A도 부정적으로 만 볼 수 없지만 `손쉬운 돈벌이'로 인식하거나 중소기업 사업영역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경우는 경계대상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 이율 한지훈 기자 hsh@yna.co.kryulsid@yna.co.krhan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