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TV가 준비한 산업전망 기획시리즈 `2012년을 향해 뛴다`. 오늘 네 번째 시간 주제는 이통시장 `소비자주권` 시대 개막입니다. 내년부터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는 통신 정책과 새롭게 등장한 통신 사업자들의 전략을 조망해봤습니다. 국내 이동통신시장 가입자 규모는 5200만명 이상. 전체 인구 5천만명 보다 더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지만 이동통신사업자는 단 3곳 뿐입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선택 보다는 통신3사 고객 정책에 따라 가입자들이 따라갈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최근 정부가 단말기 유통 개방 제도, 이동통신재판매 즉 MVNO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는 이유도 이런 통신시장 구조를 바꾸기 위해섭니다. 내년 5월부터 전격 시행되는 단말기 유통 개방 제도는 그 동안 폐쇄적인 통신사들의 단말기 유통 구조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성호 방송통신위원회 통신정책국 과장 "그 동안 우리나라 이통사는 등록된 단말기만 통화를 허용하는 폐쇄적인 관리 제도를 운영해 왔습니다. 그에 따라서 이동통신사 대리점이나 판매점을 통해서만 단말기를 구입할 수 있는 그런 구조였습니다. 그래서 이번 제도 개선은 이통사에 등록하지 않은 단말기라도 통화가 허용되도록 하고 분실 도난된 단말기만 대신 따로 관리해 통화를 차단하는 제도를 마련한 것입니다" 단말기 유통 개방은 단말기 보조금 문제도 해결할 전망입니다. 그동안 통신사들은 과징금까지 맞으면서도 휴대폰 보조금으로 이용자를 묶어놨습니다. 하지만 단말기 유통 개방 제도가 도입되면 보조금 문제가 사라지고 이용자들은 자유롭게 통신사를 변경할 수 있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통신비 인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통신3사들은 영업이익 가운데 대부분을 단말기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스란히 통신 요금에 반영되고, 고객들의 통신비 인상 부담으로 작용해 왔습니다. 전응휘 녹색소비자 연대 상임이사 "이동통신사 단말기 보조금이라는 것이 통신사업자에 의해 주어지는 보조금만 있는 것이 아니고 단말기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단말기 보조금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단말기 대금이 통신사 요금안에 반영되기도 하고 그래서 사실은 이용자들한테는 구분이 안됩니다. 근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으니까. 가격이나 품질에 있어서 단말기가 소비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단말기 유통 개방 제도 말고도 내년 통신 환경 변화 중 MVNO 사업 활성화도 주목할 부분입니다. 현재 17군데 달하는 MVNO 사업자들이 등록을 마친 상태지만 단말기 수급 문제와 사업자들의 준비 소홀로 유명무실한 상탭니다. 하지만 경쟁력을 갖춘 사업자들이 속속 뛰어들고 있어 통신시장의 변화가 기대됩니다. 김태경 MVNO협회 부회장 "내년초에 저희(온세텔레콤)도 시작하고 CJ헬로비젼도 1월에 서비스를 시작하면 MVNO에 대한 신뢰감이라든가 이런것들이 소비자에게 심어지고 그렇게 되면 어느정도 MVNO가 시장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 자본력과 콘텐츠를 확보한 사업자들이 본격적으로 통신 시장에 뛰어들면 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가계 통신비 지출비중이 두번째로 높지만 고객의 선택권에는 인색한 국내 이동통신시장. 새해부터 변화는 통신 정책과 새로운 통신사업자들의 고객 확보 전략은 국내 이동통시장에 소비자 주권 시대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WOW-TV NEWS 한창율입니다. 한창율기자 crh2090@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사람이니?` 아기 잠재우는 검은고양이 `자장자장` ㆍ조폭 금붕어 논란 "금붕어가 원해서 문신한 것도 아니고" ㆍ엘리베이터서 산채로 화형 당한 70대女 `34만원 때문에…` ㆍ원더걸스 소희의 무리한 화보, 속옷ㆍ다리ㆍ복부 적나라 ㆍ아기 잠재우는 검은고양이 `자장자장`. .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창율기자 crh2090@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