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보광과 손잡고 '2차전지 소재' 진출

포스코가 16일 이사회를 열어 휘닉스소재와 함께 2차전지소재 사업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전자소재 전문기업인 휘닉스소재는 범(汎) 삼성가인 보광그룹 계열사다. 포스코와 삼성의 밀월관계가 더 깊어질 것이란 전망이 업계에서 나온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이날 이사회에서 연임 의사를 밝혔다.

▶ 관련 기사 보기

◆2차전지소재 사업 합작

포스코는 휘닉스소재와 700억원 규모의 리튬이온 2차전지소재 합작법인(JV)을 설립하기로 했다. 합작사는 내년 3월 경북 구미의 휘닉스소재 제2공장에 본사를 두고 정식 출범할 예정이다. 두 회사 출자비율은 5 대 5로, 이사회도 동수로 구성한다. 휘닉스소재 최인호 대표가 합작사 최고경영자(CEO)를 겸직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리튬이온 2차전지에 쓰이는 소재 개발과 양산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리튬이온 2차전지는 전기자동차나 각종 스마트기기에 사용된다. 포스코와 휘닉스소재는 향후 신재생 에너지, 친환경 소재 등 에너지·전자 소재 전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포스코는 계열사인 포스코켐텍이 작년 탄소계 음극재 사업에 진출한 데 이어 이번 합작투자로 양극재와 금속계 음극재 생산 능력을 모두 확보하게 됐다.

휘닉스소재는 전자재료와 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ESS)용 2차전지 핵심소재인 고성능 양극재와 금속계 음극재 제조 기술을 독자 개발해 국내외 주요 전지업체에 공급을 추진 중이다.

◆포스코-범 삼성 밀월 깊어지나

포스코와 손잡은 보광그룹은 이건희 삼성 회장의 부인 홍라희 리움미술관장 일가다. 부친인 고(故) 홍진기 전 중앙일보 회장이 1983년 사돈인 고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도움을 받아 설립한 TV브라운관 부품업체 (주)보광이 모기업이다.

홍 관장의 남동생이자 고 홍진기 회장의 2남인 홍석조 회장이 보광훼미리마트를 이끌고 있고 3남 홍석준 회장이 보광창업투자를, 4남인 홍석규 보광그룹 회장이 제조·레저·서비스업을 맡고 있다. 장남은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이다. 보광그룹 계열사 수는 훼미리마트를 비롯해 휘닉스파크 등 43개에 이른다. 연결기준 연간 매출은 3조원 안팎이다.

업계에선 포스코와 보광의 합작을 계기로, 포스코와 범 삼성가의 협력이 확대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에너지·소재 사업 확장을 노리는 삼성과 종합소재 기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는 포스코는 공통적인 관심을 갖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일각에선 두 회사가 소재나 물류,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공동으로 회사를 설립하거나 회사 인수를 추진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정준양 회장은 지난 9월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과 기흥 반도체 사업장을 이례적으로 깜짝 방문하면서 이 같은 전망에 힘을 실었다. 당시 정 회장은 6시간 이상을 이건희 삼성 회장의 장남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과 함께했다.

재계 관계자는 “지난 6월 대한통운 인수를 위해 손잡았던 삼성과 포스코의 경영진 간 교류가 지속되면서 두 회사의 협력관계가 더 긴밀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 연임될 듯

정 회장은 이날 포스코 이사회에서 연임 의사를 공식 전달하고 기존 임기 3년 동안의 공적을 담은 보고서도 함께 제출했다. 이사회는 정 회장의 연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CEO후보추천위원회를 운영하기로 결의했다.
사외이사 7명으로 구성되는 CEO후보추천위원회는 연임 의사를 밝힌 정 회장을 대상으로 자격 심사에 들어간다. 이사회 의결이 이뤄지면 내년 3월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정 회장을 후보로 추천하게 된다.

포스코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대한 업적을 인정받아 정 회장 연임 안건은 이사회를 거쳐 주총을 통해 확정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2009년 초 포스코 사령탑을 맡은 정 회장은 내년 2월 말 임기가 끝난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