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의식 조사..北지도층에 '부정적' 주민엔 '긍정적'

국민의 80% 이상이 통일비용 준비에 공감하면서도 재원마련을 위한 세금 인상이나 신설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것으로 5일 조사됐다.

교육계, 학계, 종교계, 경제계, 시민사회계 등 5개 분야별 컨소시엄으로 구성된 통일준비공론화 사업팀이 지난 2월부터 8월까지 6천727명을 상대로 시행한 통일의식 조사에서 82.2%가 통일비용 준비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분야별 컨소시엄이 실시한 여론조사를 서울교육대 산학협력단이 취합한 것이다.

통일비용 마련 방안에 대해서는 61.4%가 예산의 일정부분을 적립해야 한다고 답했다.

통일세 신설이나 세금인상 방안은 12.8%에 불과했고, 국민의 자발적 성금 11.5%, 국제금융기구로부터의 도움 11.6% 등으로 나타났다.

통일비용 마련을 위한 세금 부담 정도에 대해서는 43.7%가 본인이 부담하는 전체 세금에서 '1% 미만'을 선택했고, 37.9%는 '1~2.5%', 11.9%는 '2.5~5%'를 선호했다.

통일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79.1%가 관심이 있다고 답했고,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83.8%가 필요하다고 반응했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는 ▲역사적으로 한민족이기 때문에(32.7%) ▲전쟁위협 등 불안감 해소(24.8%) ▲선진국 도약(21.6%) ▲군사비 등 분단에 따른 비용 경감(10.3%) ▲이산가족 문제 해결(7.1%)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16.2%가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한 가운데 그 이유로 '사회가 혼란스러워질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37.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통일비용 등 경제적 부담(31.8%) ▲북한 체제의 이념에 대한 거부감(18.0%) 등이 뒤를 이었다.

또 북한 정권과 지도층에 대해 94.5%가 '부정적'으로 평가했고,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69.4%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면대면 자기기입 조사 방식을 통해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19%다.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lkw77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