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읽는 경제] 환율 단기 급변동 설명 못하는 구매력ㆍ금리 평가설
최근 환율이 널뛰기를 하고 있다. 지난 8월 초만 해도 미국 달러당 1049원까지 떨어졌던 환율이 지난 22일 1193원까지 치솟았다. 환율 급등세를 보다 못한 외환당국이 시장에 개입하면서 23일에는 전날보다 21원 하락한 1166원에 마감됐다.

과연 환율은 어떤 메커니즘을 거쳐 결정되는 것일까. 환율은 양국 간 화폐의 교환비율을 의미한다. 환율 결정 이론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실물시장의 관점에서 본 '구매력 평가설'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본시장에서 바라본 '금리 평가설'이다. 구매력 평가설은 양국 간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구매력이 같아지는 선에서 환율이 결정된다고 설명한다. 즉 양국 간 완전한 자유무역을 가정할 때 일물일가의 법칙에 따라 물건값이 동일해지는 수준에서 균형 환율이 성립한다고 본다. 미국계 햄버거 회사인 맥도날드가 세계 각지에서 판매하는 '빅맥'의 가격을 비교해 만든 빅맥지수가 바로 이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

구매력 평가설이 자유무역을 가정했다면 금리 평가설은 양국 간 자유로운 자본 이동을 전제로 한다. 이 가설 하에서는 양국 간 자본 수익률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가령 한국의 명목이자율이 미국에 비해 높다면 그만큼 환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얘기다.

예를 들어 23일 현재 1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연 0.1%로 만기가 동일한 한국 국채 금리(3.39%)보다 높다. 금리 평가설에 따르면 이는 1년 뒤 환율이 3.29%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실에서는 상품거래와 자본거래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다. 또 아무리 개방된 경제라 하더라도 완전한 자유무역과 자본이동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 더구나 이들 이론은 장기 균형점을 찾기 위한 것으로 단기적인 변동을 일일이 설명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최근 환율 급등은 그리스 등 유럽에서 불거진 재정위기를 맞아 국내에 들어와 있던 외국계 자금들이 해외로 이탈하면서 생긴 현상으로 풀이된다. 이는 정상적인 환율 변동으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정부가 굳이 시장 개입에 나서는 이유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