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사회 추진 점검회의','녹색성장 이행 점검회의'.

최근 신설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 회의들이다. 공정사회와 녹색성장은 지금까지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챙겨왔던 현 정부의 핵심 정책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초 녹색성장위원회를 만드는 등 저탄소녹색 정책에 공을 들여왔다. 공정사회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8 · 15 경축사에서 언급한 이후 국정의 근간으로 삼을 정도로 심혈을 기울였던 사안이다. 그런데 갑자기 총리실에 '성과 점검'을 맡긴 이유는 뭘까.

총리실 일각에선 '뒤처리'를 총리에게 넘겼다는 분위기가 있다. 집권 초 · 중반에는 청와대 주도로 주요 현안들을 강하게 밀어붙이다가 후반기에 힘이 떨어지니까 총리실에 '성과를 만들어오라'고 설거지를 시켰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총리실이 부쩍 바빠진 것이 이 때문만은 아니다. 총리가 정기적으로 주재하는 각종 회의에서도 '점검'이 주요 이슈다. 김 총리는 최근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스포츠산업 중장기계획 추진성과'를 보고 받았다.

이달 초에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입학사정관제와 대입전형료 인하 관련 점검 회의를 갖기도 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녹색성장 등 총리실이 담당하지 않았던 분야를 포함해 최근 각종 '점검 회의'가 부쩍 늘었다"고 20일 말했다.

이런 현상은 정권마다 반복되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총리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벌여 놓은 주요 정책 사안들을 정권 말 레임덕 현상이 나타나자 총리에게 넘기는 게 다반사였다"고 말했다.

노무현 정권 말 총리실에 '개헌 태스크포스(TF)'를 만든 게 단적인 예다. 김대중 정부 말기엔 첨예한 갈등 이슈로 떠올랐던 새만금 개발 문제에 대해 청와대가 발을 빼면서 총리실이 맡았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