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창조적으로 훔쳐라
콧구멍 필터·음료 형태의 약…'개념화' 활용해 아이디어 수집
#창조적 기업일수록 모방한다
사람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이 파워케이블이 이미 팔리고 있는 일본 전기밥솥의 파워케이블과 같은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일부 사람들은 남의 아이디어를 베껴서야 되겠느냐고 비난했다. 하지만 잡스는 특유의 당당함으로 이렇게 되받아쳤다. "우리 직원들은 좋은 아이디어를 훔치는 데 더욱 적극적이어야 한다. "
모방은 창조성이 강조되는 예술계에서 빈번하게 일어난다. 예술가들은 다른 연주자나 작가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이야기한다. 달리 표현하면 그들의 작품을 모방하고 흉내내면서 작품활동을 했다는 말이다. 이처럼 창조는 필연적으로 모방을 통해 시작된다. 창조적 조직을 만드는 것이 기업의 화두가 된 요즘,창조성을 강조하는 기업일수록 남의 아이디어를 모방하는 일에 더욱 열심이다.
창조적 모방과 뻔뻔한 표절 사이의 경계는 과연 무엇일까. 단지 법망을 피해가기 위해서가 아니라,보다 근본적인 고민을 통해 '창조적으로 아이디어를 훔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만약 은행이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호텔을 벤치마킹한다면? 미국 오리건주의 엄콰은행은 만년 적자를 면치 못하는 지방은행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객 만족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했다. 그리고 직원 상당수를 메리어트호텔로 보내 호텔의 고객 서비스를 벤치마킹했다. 엄콰은행은 전당포 느낌이 나던 창구의 인테리어를 바꿨고,직원들은 인사법도 다시 익혔다. 이를 통해 2009년 매출액 3억9000만달러의 거대 은행으로 성장했다.
#'과제 개념화' 활용하면 아이디어 쑥쑥
이처럼 상식을 뛰어넘는 전방위적 모방이 가능한 이유는 뭘까. 창의적 모방의 과정에 '개념화'라는 의식적 활동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를 보여주고 다음에 올 것을 연상하라면 흔히 B 또는 a를 연상한다. 그런데 '첫 글자'라는 개념만 알려주면 사람들은 한글의 ㄱ(기역)이나 숫자 1,심지어 월요일을 연상하기도 한다. 정보가 부족할수록 상상력을 동원해 빈 공간을 채우는 우리의 뇌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창조적 기업들은 의도적으로 '개념화' 사고를 활용해 아이디어를 구한다.
개념화 사고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몇 년 전 일본의 한 기업이 봄철 꽃가루와 황사로 인해 고생하는 알레르기 환자를 위해 신제품을 출시했다. 이 회사는 습기가 차고 대화하기 불편한 마스크를 대신할 상품의 아이디어가 궁해 몇 가지 정보를 제거해 개념화시켰다. '이물질 흡입 방지'란 개념만을 갖고 관련 제품과 아이디어를 폭넓게 수집했다. 방독 마스크부터 자동차 공기필터까지 다양한 상품을 조사한 뒤 코로 들어가는 공기를 정화하는 콧구멍 필터,노즈 핏(Nose Pit)을 출시했다.
수년 전 박카스와 비타500 간의 경쟁이 치열했다. 비타500이 나오기 전까지 소비자들은 비타민C 제품을 매번 물과 함께 챙겨 먹는 일을 불편하게 느끼고 있었다. 경쟁업체는 녹여 먹는 알약,물 없이 먹는 가루약 등을 내놓은 상태였다. 비타500 개발자들은 '약을 쉽게 먹는 방법'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춰 조사를 했고,물약 형태로 만들어진 박카스에 주목하게 됐다. 결국 비타500은 음료의 형태로 만들어 큰 성공을 거두게 됐다. 흥미로운 사실은 비타500의 경쟁상품으로 지목되던 박카스도 1961년까지는 알약이었다는 사실이다. 비타500은 박카스의 성공 공식을 모방해 성공했다고도 할 수 있다.
기업들이 창조성을 강조하면서 스스로 독창적이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는 경우도 있다. 창조적이라고 해서 꼭 독창적일 필요는 없다. 기업에 필요한 창조는 모방과 응용 수준에서도 충분히 이뤄진다. 기왕 다른 조직을 모방할 생각이면 보다 근본적인 아이디어 차원에서 모방하는 게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념화' 사고 훈련이 필요하다.
김용성 세계경영연구원(IGM) 교수 yskim@ig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