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대전 후 가장 긴 침체에 시달리는 英…재정도 급속 악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금융시장 '카오스' - 글로벌 경제위기 다시 오나 (5) 유럽이 흔들린다
"2차 대전 이후 가장 깊고 긴 침체를 겪는 영국은 재정건전성도 악화되고 있다. 신용등급이 강등될 위험이 높다. "(가디언)
영국 FTSE100 주가는 10일 재정위기 확산 우려로 3.05% 하락했다. 작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프랑스와 함께 또 다른 신용위험 국가로 지목받으며 영국의 주가는 이달 들어 14.7%나 빠졌다. 2260억파운드(395조3373억원)가 공중으로 날아간 셈이다. 어려운 시장에 머빈 킹 영국중앙은행(BOE) 총재는 기름을 부었다. 그는 이날 "회복을 저해하는 역풍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영국의 취약한 경제는 물가상승과 저금리,금융위기의 피해를 입고 있다"고 경고했다. BOE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영국은 이미 더블딥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 분기 대비 0.2%에 그쳤다. 2008~2009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다 작년에 겨우 플러스(1.3%)로 돌아섰지만 회복세가 급속히 둔화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작년의 성장도 2009년 3월부터 1년간 2000억파운드를 풀어 국채와 회사채를 매입한 덕분이었다"고 평가했다.
경제성장을 위해 돈을 더 풀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 딜레마다. 재정적자 문제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예측한 영국의 올해 재정적자는 GDP 대비 8.7%,정부 부채 비율은 88.5%이다. 현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서 최고 등급인 AAA를 받고 있는 국가 중 재정적자 비중이 가장 높다. 정부 부채 비중은 프랑스 다음으로 높다. 프랑스와 함께 신용등급 강등 대상으로 꼽히는 이유다.
물가도 문제다. 영국의 지난 6월 물가상승률은 4.2%로 정부 목표치인 2%의 두 배를 넘은 상태며 미국(3.1%)과 유로존(2.5%)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고용도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1분기 실업률은 7.7%에 달했고 청년 실업률은 20%까지 높아졌다. 앞으로 고용사정은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긴축정책에 따라 영국 공공부문은 2015년까지 70만명을 감원하기로 했다. 악화된 고용 상황이 최근 영국 전역을 휩쓸고 있는 폭동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폭동은 정부 리더십의 위기까지 불러오며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강유현 기자 yhkang@hankyung.com
영국 FTSE100 주가는 10일 재정위기 확산 우려로 3.05% 하락했다. 작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프랑스와 함께 또 다른 신용위험 국가로 지목받으며 영국의 주가는 이달 들어 14.7%나 빠졌다. 2260억파운드(395조3373억원)가 공중으로 날아간 셈이다. 어려운 시장에 머빈 킹 영국중앙은행(BOE) 총재는 기름을 부었다. 그는 이날 "회복을 저해하는 역풍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며 "영국의 취약한 경제는 물가상승과 저금리,금융위기의 피해를 입고 있다"고 경고했다. BOE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영국은 이미 더블딥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 분기 대비 0.2%에 그쳤다. 2008~2009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다 작년에 겨우 플러스(1.3%)로 돌아섰지만 회복세가 급속히 둔화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작년의 성장도 2009년 3월부터 1년간 2000억파운드를 풀어 국채와 회사채를 매입한 덕분이었다"고 평가했다.
경제성장을 위해 돈을 더 풀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 딜레마다. 재정적자 문제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예측한 영국의 올해 재정적자는 GDP 대비 8.7%,정부 부채 비율은 88.5%이다. 현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서 최고 등급인 AAA를 받고 있는 국가 중 재정적자 비중이 가장 높다. 정부 부채 비중은 프랑스 다음으로 높다. 프랑스와 함께 신용등급 강등 대상으로 꼽히는 이유다.
물가도 문제다. 영국의 지난 6월 물가상승률은 4.2%로 정부 목표치인 2%의 두 배를 넘은 상태며 미국(3.1%)과 유로존(2.5%)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고용도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1분기 실업률은 7.7%에 달했고 청년 실업률은 20%까지 높아졌다. 앞으로 고용사정은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긴축정책에 따라 영국 공공부문은 2015년까지 70만명을 감원하기로 했다. 악화된 고용 상황이 최근 영국 전역을 휩쓸고 있는 폭동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폭동은 정부 리더십의 위기까지 불러오며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강유현 기자 y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