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채널 풀가동…"실제 송환까지는 시간 걸릴듯"

저축은행 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가 캐나다로 도피한 부산저축은행그룹의 거물급 로비스트 박태규(71)씨의 국내 송환을 위해 여러 경로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박씨는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정관계 고위층을 상대로 벌인 각종 로비 의혹의 열쇠를 쥔 핵심 인물로 꼽힌다.

검찰 관계자는 3일 "해외 체류 중인 박씨의 신병 확보를 위해 현재 세 가지 채널을 가동하는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먼저 법원에서 영장을 발부받아 캐나다 법무부에 범죄인 인도 청구를 했으며, 동시에 캐나다 이민국을 통해 `여권취소-강제퇴거-본국송환' 절차를 밟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을 통해 박씨를 공개수배 해놓은 상태다.

경찰의 수사권이 상대적으로 강한 캐나다의 현실을 고려해 박씨의 신병확보에 현지 경찰의 협조를 요청한 것이다.

이런 공식 절차 외에도 김준규 전 검찰총장이 캐나다 검찰에 협조 요청 서한을 보냈고, 지난 6월 세계검찰총장회의 참석차 방한한 캐나다 검찰총장에게 직접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

하지만 검찰은 실제로 박씨의 국내 송환이 이뤄지기까지는 캐나다 당국의 법리 검토 등 현지에서 선행돼야 할 절차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캐나다 당국에서 박씨의 신병을 확보하면 본국에 통보하게 돼 있지만 검찰은 아직 신병확보 통보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공조가 비교적 원활하게 이뤄지는 미국의 경우에는 통상 1년 가까운 시간이 걸리는 범죄인 인도절차를 따르지 않고 연방검찰 등 수사당국과 직접 접촉해 시의성 있게 피의자를 송환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하지만 캐나다의 경우 사정이 달라 송환 기간 단축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는 게 검찰의 전망이다.

검찰 관계자는 "통상 해외 범죄자 송환은 절차가 까다로워 많은 시간이 걸린다"며 "현재로선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했기 때문에 캐나다 측의 조치를 기다려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정치권에 두터운 인맥을 가진 거물급 로비스트로, 지난해 부산저축은행이 유상증자를 통해 삼성꿈장학재단과 포스텍에서 총 1천억원의 투자금을 끌어들이는 데 개입하는 등 이 은행그룹의 구명로비를 담당했으며 수사 초기 캐나다로 빠져나갔다.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abullapi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