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대통령 실장이 이명박 정부의 임기 후반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한 구상을 17일 밝혔다. 임 실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이날 청와대 기자실인 춘추관을 찾아 간담회를 열고 청와대의 '무한책임'을 강조하며 공정사회 아젠다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청와대는 정책 종결자다. 청와대가 책임지고 해야 할 사안들을 피하지 않겠다"며 공기업의 지방 이전을 예로 들었다. 그는 "공기업 지방 이전과 관련한 여러 가지 계획이 발표됐고 지방은 기대하고 있지만 지지부진하다는 말들이 많다. 분명한 타임테이블을 갖고 하겠다"며 강한 추진 의지를 보였다. 정부는 당초 계획대로 내년까지 공기업 지방 이전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나 이전 작업이 제자리 걸음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임 실장은 공정사회 추진에도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공정사회에 대해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며 "앞으로 공정사회 아젠다는 청와대가 직접 챙기면서 '전도사'란 각오로 임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공정사회 관점에서 대기업의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제도 개선도 집중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일감을 몰아줘 이익을 빼는 것,내부 거래를 해서 과세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며 "이런 것은 '캡티브 마켓(captive market · 그룹 내부시장)'이라고 하는데 합법을 가장한 지하경제다. 일감 몰아주기는 변칙 부당거래"라고 지적했다. 상속 증여세를 철저히 부과하겠다는 뜻이다. 임 실장은 "출자 총액 제한 제도를 풀었는데 이런 것(일감 몰아주기)을 하라고 푼 게 아니다"며 대기업의 인식 전환을 촉구했다.

그는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앞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동반화합의 큰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경기지사 출마 여부에 대해 그는 "행정구역이 개편되고 준광역제도를 하면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변화가 오기 때문에 지금의 서울시장,경기지사가 마지막이 될 것"이라며 당분간은 실장직에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추가 개각에 대해선 "내달 초순께 열리는 저축은행 국회 청문회가 끝날 때까지는 인사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