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자동차 수출이 191억달러에 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부가가치가 높은 중대형 차종의 수출이 크게 늘면서 대당 평균 수출가격도 1만3천달러대로 상승해 '한국산=싼 차'라는 인식이 바뀌고 있다. 11일 관세청이 내놓은 '2011년 상반기 승용차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상반기 자동차 수출은 금액기준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0.4% 늘어난 191억달러, 대수로는 15.9% 증가한 150만대에 달했다. 2008년만 해도 대당 4천달러에 불과했던 수출가격은 2009년 1만달러, 2010년 1만2천달러, 올 상반기 1만3천달러로 높아지는 추세다. 경차(1,000㏄ 이하)의 수출이 3억달러, 5만3천대로 각각 21%, 23.7% 줄어든 반면 중대형차(1,500㏄초과)의 수출은 167억달러(32.7%), 116만9천대(20.4%)로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소형차(1,000~1,500㏄이하)도 수출대수(27만8천대) 증가율이 9.5%에 그쳤지만 수출액은 21억달러로 25.3%나 신장해 고급화 전략이 맞아 떨어졌다. 유종별로는 고유가로 경유차의 비중이 지난해 14.8%에서 15.2%로 확대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경우 국내 할부금융 회복, 소비심리 개선 등 효과로 중대형차 수출이 늘어나면서 수출규모가 40.8%(액수 기준)나 늘었고 EU(53.5%), 러시아(71.4%), 브라질(31.5%) 등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자동차 수입은 상반기 17억달러, 5만5천대로 작년보다 38.1%, 20.9% 증가했다. 금융위기로 2009년 2만9천달러까지 떨어졌던 대당 수입가격은 3만1천달러로 2008년 수준(3만3천달러)에 다가섰다. 용량별로는 소형차의 수입액이 220.4%나 늘어 중대형(37.6%), 경차(85%)의 상승률을 압도했다. 특히 고가 위주의 유럽(EU)산 차 수입이 53.1%나 늘어난데 반해 소형ㆍ준중형차 위주의 일본차는 대지진 이후 부품공급 차질, 신차 부재 등으로 24%나 급감, 대조를 보였다. FTA 비준을 앞둔 미국산 차의 수입은 36% 증가했다. 관세청은 "경기, 환율, 유가 등 변수가 있지만 하반기에도 승용차 수출입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특히 수출의 14.4%(27억달러), 수입의 75.4%(13억달러)를 차지하는 EU지역은 FTA 시행으로 수출과 수입 모두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인터넷뉴스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