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금융위원장은 14일 "6월 중으로 시장에서 지나치게 강하다고 할 정도의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 전체회의에 출석, "여러 지표로 볼 때 아직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앞으로 여건이 어려워지면 경제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관리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총유동성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원리금을 제때 상환할 수 있도록 제대로 된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가계대출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금융회사의 리스크 관리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축은행 부실사태에 대해 "대주주들의 은닉재산을 찾아내 피해자 구제에 쓸 것"이라며 "저축은행을 부실감사한 회계법인도 조사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의 삼화저축은행 인수 과정에서 여권 실세의 외압이 없었느냐는 야당 의원들의 질문에는 "외부로부터 어떠한 영향도 없었다"며 "저축은행 국정조사가 이뤄지면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실시한 저축은행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전수조사 결과에 대해선 "예상한 수준이다.

평균 정도"라면서 저축은행 구조조정 재원과 관련, "예금보험공사의 특별계정에 마련한 돈으로 최대 15조원을 조달할 수 있는데, 상반기 중 절반인 7조원 가량을 쓰게 된다"며 "정부 출연금을 활용하면 여력이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메가뱅크' 문제에 대해선 "경쟁력 차원에서 금융기관의 대형화가 필요한 측면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이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과 관련, "서민들에게 국민주 형태로 주식을 배분하는 게 좋은 정책 방향"이라고 제안하자 "취지는 알겠지만 국민주 방식으로 하면 상당 부분 가격을 할인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대학 등록금도 공짜로 하자는 판인데 서민들에게 (저렴하게) 나눠주는 게 뭐가 대단한 방식이냐"며 "그런 식으로 경직되게 생각하니 서민 정책이 제대로 안 돌아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정무위 신 건(민주당) 의원이 이날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2월부터 지난 3월까지 산업은행 퇴직자가 재취업한 기업 19곳에 대해 총 3조996억원 규모의 산은 대출이 이뤄졌다.

산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뒤 산은 출신을 임원으로 영입한 경우도 있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