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인플레 급한 불 끄기…23개월 만에 '초저금리 종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ECB, 금리 1.25%로 0.25%P 인상
日·英은 동결…각국 통화정책 디커플링
日·英은 동결…각국 통화정책 디커플링
유럽중앙은행(ECB)이 7일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 중에선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금리를 낮추기 시작한 지 2년 6개월 만에 금리 · 통화정책의 큰 틀을 바꾼 것이다. ECB가 2009년 5월 기준금리를 1%까지 내린 이후론 23개월 만의 인상이다.
ECB의 금리인상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변방의 재정위기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 들어 연중 목표치를 훌쩍 넘긴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이 우선순위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유럽과 달리 대지진 피해를 입은 일본은 4조엔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을 편성하는 등 양적완화 정책을 계속하기로 했다. 경기전망이 불투명한 영국도 금리를 동결했다. 선진국 간 다른 통화정책을 펴는 '디커플링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저금리 종언…인플레가 우선과제
ECB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 본부에서 금융통화정책회의를 갖고 "기준금리를 기존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올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유로존이 금리를 인상하게 된 것은 역내 인플레이션 문제가 '제1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전날 포르투갈이 유럽연합(EU)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등 유로존 변방의 재정위기가 계속되고 있지만,물가관리가 더 시급한 문제라고 ECB가 판단한 것이다. 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금리인상으로 일부 국가가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지만 유로존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며 "통화정책위원들이 만장일치로 금리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ECB가 인플레 대처 차원에서 연내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더 올려 1.75%까지 조정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유로존 물가상승률은 2.6%로 2008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4개월 연속 ECB의 물가 목표치인 2%를 넘어섰다. 글로벌 차원에선 높은 수치가 아니라고 볼 수도 있지만 지난해 물가상승률 1.6%에 비하면 크게 높아진 수준이다. 전통적으로 인플레와의 전쟁을 최우선 정책 타깃으로 삼고 있는 ECB로선 현재 물가상승 추세를 간과할 수 없는 위협으로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유로존 핵심인 독일을 중심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독일 주간 슈피겔은 '더 이상 저금리 정책을 유지할 수 없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투기자금 활동이 늘고 글로벌 주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ECB가 금리를 올리면 자금 조달비용이 크게 늘어난다"며 금리인상에 반대해온 'PIGS(포르투갈 아일랜드 ·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국가들의 목소리는 반향을 얻지 못했다.
◆깨져버린 글로벌 금리 공조
이처럼 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면서 유럽이 본격적으로 '출구전략'에 돌입하자,금융위기 이후 유지돼온 선진국 간 초저금리 통화정책 공조도 무너지고 있다. 유럽의 뒤를 이어 미국도 조만간 초저금리 대열에서 이탈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선 일부 연방은행 총재들을 중심으로 연내 금리인상설이 나오고 있다. 6월 말까지 실시하는 6000억달러 규모 '2차 양적완화'를 조기에 종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앞서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인도 등 신흥국들은 인플레 억제를 위해 지난해부터 금리인상에 나섰고 올 들어 금리인상 속도를 높이고 있다. 중국은 이미 올 들어 두 번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인도도 금융위기 이후 기준금리를 8차례 올렸다.
반면 지진복구에 주력해야 할 일본은 초저금리 정책을 당분간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일본은행(BOJ)은 이날 기준금리를 0~0.1%로 동결했다. 일본은행은 또 대지진과 원전사태에 따른 피해 복구를 위해 은행들에 0.1% 고정금리로 1조엔(12조7000억원)의 특별 대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는 대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추가경정예산을 4조엔(51조원) 규모로 편성키로 했다. 인플레 우려와 함께 불투명한 경기전망이라는 딜레마에 처한 영국도 이날 기준금리를 26개월 연속 0.5%로 동결했다.
프랑크푸르트(독일)=박해영 /김동욱 기자 bono@hankyung.com
ECB의 금리인상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변방의 재정위기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 들어 연중 목표치를 훌쩍 넘긴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이 우선순위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유럽과 달리 대지진 피해를 입은 일본은 4조엔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을 편성하는 등 양적완화 정책을 계속하기로 했다. 경기전망이 불투명한 영국도 금리를 동결했다. 선진국 간 다른 통화정책을 펴는 '디커플링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저금리 종언…인플레가 우선과제
ECB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 본부에서 금융통화정책회의를 갖고 "기준금리를 기존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올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유로존이 금리를 인상하게 된 것은 역내 인플레이션 문제가 '제1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전날 포르투갈이 유럽연합(EU)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등 유로존 변방의 재정위기가 계속되고 있지만,물가관리가 더 시급한 문제라고 ECB가 판단한 것이다. 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금리인상으로 일부 국가가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지만 유로존 전체를 고려해야 한다"며 "통화정책위원들이 만장일치로 금리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ECB가 인플레 대처 차원에서 연내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더 올려 1.75%까지 조정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유로존 물가상승률은 2.6%로 2008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4개월 연속 ECB의 물가 목표치인 2%를 넘어섰다. 글로벌 차원에선 높은 수치가 아니라고 볼 수도 있지만 지난해 물가상승률 1.6%에 비하면 크게 높아진 수준이다. 전통적으로 인플레와의 전쟁을 최우선 정책 타깃으로 삼고 있는 ECB로선 현재 물가상승 추세를 간과할 수 없는 위협으로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유로존 핵심인 독일을 중심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독일 주간 슈피겔은 '더 이상 저금리 정책을 유지할 수 없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투기자금 활동이 늘고 글로벌 주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ECB가 금리를 올리면 자금 조달비용이 크게 늘어난다"며 금리인상에 반대해온 'PIGS(포르투갈 아일랜드 ·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국가들의 목소리는 반향을 얻지 못했다.
◆깨져버린 글로벌 금리 공조
이처럼 인플레이션 공포가 커지면서 유럽이 본격적으로 '출구전략'에 돌입하자,금융위기 이후 유지돼온 선진국 간 초저금리 통화정책 공조도 무너지고 있다. 유럽의 뒤를 이어 미국도 조만간 초저금리 대열에서 이탈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선 일부 연방은행 총재들을 중심으로 연내 금리인상설이 나오고 있다. 6월 말까지 실시하는 6000억달러 규모 '2차 양적완화'를 조기에 종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앞서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인도 등 신흥국들은 인플레 억제를 위해 지난해부터 금리인상에 나섰고 올 들어 금리인상 속도를 높이고 있다. 중국은 이미 올 들어 두 번째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인도도 금융위기 이후 기준금리를 8차례 올렸다.
반면 지진복구에 주력해야 할 일본은 초저금리 정책을 당분간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일본은행(BOJ)은 이날 기준금리를 0~0.1%로 동결했다. 일본은행은 또 대지진과 원전사태에 따른 피해 복구를 위해 은행들에 0.1% 고정금리로 1조엔(12조7000억원)의 특별 대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는 대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추가경정예산을 4조엔(51조원) 규모로 편성키로 했다. 인플레 우려와 함께 불투명한 경기전망이라는 딜레마에 처한 영국도 이날 기준금리를 26개월 연속 0.5%로 동결했다.
프랑크푸르트(독일)=박해영 /김동욱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