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커지는 세계 경제] 日·중동·유럽 '위기의 삼각파도'…글로벌 더블딥 오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1분기 성장률 전망치 '반토막'
中 인민은행, 통화긴축 완화 시사
中 인민은행, 통화긴축 완화 시사
세계 경제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다시 커지고 있다. 일본 유럽 중동 등지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3대 악재' 탓이다. 일본 대지진과 이에 따른 원전 방사선 누출사고 이후 글로벌 항공과 해운물류에 차질이 생기고 공급망이 붕괴됐다. 북아프리카 · 중동 정정 불안으로 유가도 불안한 모습이다. 유럽 재정위기는 글로벌 금융 시장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모건스탠리와 JP모건은 최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4.3%에서 3.8%,4.0%에서 3.4%로 하향 조정했다. JP모건은 투자자들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고유가와 일본에서 일어난 자연재해 등 쇼크가 겹치면서 더 이상 낙관론을 유지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중국 인민은행도 지난 28일 1분기 화폐정책위원회 이후 인터넷에 게시한 발표문에서 "향후 국내 · 국제 경제 금융의 최신 동향과 그 영향을 관심을 갖고 세심히 관찰하겠다"며 그동안의 통화 긴축정책을 완화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3대 악재'가 세계 경제의 더블딥으로 이어질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셈이다.
◆일본발 세계 교역 위축
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의 회복은 수출에 의존해왔다. 미 상무부는 경기 회복이 진행된 지난 18개월 동안 수출이 미 경제 성장(3.0%)에 기여한 비중이 절반(1.4%포인트)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향후 5년간 수출을 두 배 늘려 일자리 20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수출확대 이니셔티브 (NEI)' 정책을 발표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대지진으로 세계 3대 경제대국 일본의 수요가 위축되면서 각국 수출 전선에 비상등이 켜졌다.
게다가 일본산 부품 · 소재에 의존하던 전 세계 제조업체들의 생산 차질로 세계 교역은 더욱 위축될 전망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산 부품 조달 차질로 세계 자동차 생산의 3분의 1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오반니 비시냐니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회장은 "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3월 화물 등 항공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제 항공 운송량은 지난 2월 중동 정정 불안으로 1%가량 줄어들었다고 IATA는 밝혔다.
◆리비아발 유가불안
심화되고 있는 리비아 등 중동 · 북아프리카 정정불안은 유가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의 불안을 부채질하고 있다. 글로벌 유가는 최근 하락세를 보였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배럴당 100달러 이상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분 서부텍사스원유(WTI)는 배럴당 103.98달러에 거래됐다.
유가 강세가 이어지는 이유는 리비아 내전 사태가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은 지난 27일 "나토 관리들은 (군사작전이) 3개월 정도 걸린다는 견해를 제시했지만 펜타곤(국방부) 사람들은 그보다 훨씬 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도 비슷한 전망을 한다. 수잔나 최 도이체방크 애널리스트는 "시장은 리비아 원유 실종기간이 몇 달이 아니라 1년 이상 될 수 있다는 점을 각오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예멘 시리아 등으로 번지고 있는 반정부 시위가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아라비아로 불똥이 튈 조짐을 보이면서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유럽 재정난 금융시장 복병
최근 포르투갈 목전까지 닥친 유럽 재정위기도 글로벌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금융시장에 끼칠 악영향이 우려돼서다.
당장 관심은 포르투갈 사태가 얼마나 악화될 것인가에 쏠린다. 28일 런던 외환시장에서 포르투갈 10년물 국채금리는 연 7.94%로 1999년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가입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9일 포르투갈과 그리스의 국가신용등급을 추가로 하향하며 유럽 재정위기 불안감을 키웠다.
유럽 재정위기가 스페인까지 번지는 최악은 피할 것이란 전망이 많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유로존이 재정위기 대응과정에서 불협화음을 냈던 데다 최근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주요국 집권당이 지방선거 참패 등으로 연이어 정치적 위기에 처하면서 유럽의 위기대응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창재/김동욱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