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Biz School] '9 to6' 몇 년 뒤 사라질수도…스마트워크, 떠밀리지 말고 주도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et's Master Smart Work (1) 10년 뒤에도 이렇게 일할까?
"2015년 30%가 스마트워크" 정부의 야심찬 계획 불구 공공기관마저 '지지부진'
기업ㆍ조직별 사정에 따라 유연하게 근무형태 선택을
스마트워크 촉진법 제정 등 정부는 지원 역할 충실해야
"2015년 30%가 스마트워크" 정부의 야심찬 계획 불구 공공기관마저 '지지부진'
기업ㆍ조직별 사정에 따라 유연하게 근무형태 선택을
스마트워크 촉진법 제정 등 정부는 지원 역할 충실해야
"스마트워크를 뭐라고 생각하느냐?"고 사람들에게 물으면 많은 답을 들을 수 있다. 가장 많이 하는 대답은 '스마트폰을 활용해 회사 업무를 하는 것'이다. 틀렸다고 하기 어렵지만 정답도 아니다. 스마트워크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다. 그런데 워낙 단어가 익숙하고 쉬워 보여서 그런지 제대로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스마트워크는 스마트폰의 '스마트(smart)'와 일 또는 근무 형태를 뜻하는 '워크(work)'가 합쳐진 단어다. 둘 다 쉬운 영어 단어이다 보니 각자 연상하는 것이 달라 고유의 개념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전 사원들에게 스마트폰을 나눠주는 것 또는 스마트폰에 업무 애플리케이션을 심는 것 자체로 스마트워크를 하고 있다고 발표하는 회사가 있을 정도다. 사장이 스마트폰으로 메일을 보내는 단순한 행위까지 포함해서 말이다.
# 쉬운 용어,많은 오해
스마트워크는 정부가 중 · 장기 과제로 판단,추진하고 있는 핵심 정책이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가 지난해 7월 이명박 대통령에게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으로 보고한 사안이다. 위원회는 2015년까지 근로자의 30%를 스마트워크 체제로 일하게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까지 발표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스마트워크는 대혁명적인 변화"라며 "스마트워크로 근무환경이 나아지면 출산율도 높아지고 삶의 질도 좋아져 업무 성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통량이 줄어들어 이산화탄소 배출이 감소하고 사무실이 적어도 될 것"이라고까지 덧붙였다.
이 스마트워크는 이전에 행정안전부 주도로 확산시켜 온 '공무원 유연근무제'와 민간 부문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모바일 오피스' 개념을 합친 것으로 보면 된다. 특히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자랑하는 IT(정보기술)를 활용하면 스마트워크에서 앞서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의 핵심 아젠다로 채택된 아이템이다. 때마침 불어닥친 스마트폰의 인기에 힘입어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런데 10개월이 가까워 오는 지금까지 국민들이 체감하는 진척도는 여전히 암중모색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 주도 사업이라 '큰 기회가 올지도 모른다'며 기대했던 컨설팅사 등 많은 서비스 업체들의 입이 많이 나와 있다. '제안서만 수십장 썼다'는 불만도 들린다.
#하긴 하는 건가?
뭔가 큰 일로 커갈 것 같던 스마트워크가 이렇게 지지부진하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정부 주도 사업 대부분이 그렇듯 더 큰 사안에 밀렸다. 때마침 나온 '공정한 사회' '대 · 중소기업 상생' 등의 아젠다에 밀려 추진력을 잃고 말았다.
정부 부처 간 경쟁도 일이 꼬이는 원인이 됐다. 공무원 근무제도는 행안부가 맡고 있고 IT와 스마트폰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주도하다 보니 '한 지붕 두 가족'의 전형적인 신경전이 일을 더디게 하고 있다.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워크 포럼도 두 부처 산하기관 하나씩이 사무국을 맡는 형국으로 시작돼 처음부터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의 '영(令)'이 서지 않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다. 예전 같으면 대통령의 한마디를 금과옥조로 생각해야 할 공공기관들이 스마트워크에는 별 관심이 없다. 무엇보다 기관과 기관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평가 지표에 스마트워크가 들어가지 않다 보니 '시험에 안 나오는 공부를 할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정부가 절박해하지도 않고 채근도 않으니 공공 부문이 심드렁해하고,민간부문은 더 관심이 없어진 것이다. 용두사미 형국이 되자 '정부가 하긴 하는 건가'하는 의문들이 늘고 '정부가 왜 나서려 했는가'하는 비판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물론 정부가 손을 내려놓은 것은 아니다. 누구나 집 가까운 곳에서 회사 업무를 볼 수 있는 스마트워크 센터만 해도 2015년까지 500개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세우고 KT와 함께 숫자를 늘려가고 있다. 스마트워크 센터의 경우 실제 가동이 되면 당장 혜택을 볼 수 있는 사람들이 늘어서 스마트워크를 확산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 스마트워크 센터도 적잖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스마트워크센터를 만들기만 하면 근무환경이 놀랍게 개선될 것이라고 믿는 것 자체부터 문제다. 스마트워크센터는 회사까지 나올 수 없는 사람들이 집 근처에 있는 센터를 활용하도록 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이 경우 이동에 따른 교통비가 절감되고,주부들의 경우 아이들을 멀리 있는 회사까지 데려올 필요가 없어져 근무여건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문제는 회사에 일하는 자리를 그대로 두고 스마트워크 센터를 활용할 경우 결국 원래적 의미의 공간 활용이나 탄소절감과는 반대 방향을 걷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여러 곳에 사무실을 두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또 현실적으로도 매일 스마트워크 센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1주일에 며칠은 회사로 출근해야 한다면 고정된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못하는 아이가 오히려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정부가 감당하기 어려운 아젠다를 괜히 꺼내서 큰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 이유다.
#잘하는 기업을 장려해야
정부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스마트워크는 본질상 기업이나 각 조직의 형편이 달라 자율적으로 추진돼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한다. 정부가 어떤 근무형태를 만들어 강제하거나 제안할 것이 아니라,민간이 각 기업이나 조직의 사정에 맞춰 유연하게 근무형태를 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그 과정에서 안풀리는 문제를 해결해주거나 성공한 사례를 소개시켜주는 역할에 그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뭐는 안 된다'는 식이 아니라 잘하는 것을 더 잘하게 만들어주는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렇게 목표를 잡으면 이미 해오던 유연근무제나 활기를 띠고 있는 모바일 오피스 제도를 조용히 모니터하면서 미래의 근무환경을 만들어주겠다는 생각을 하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시장 질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뤄질 변화를 정부가 괜히 나서서 망치고,오히려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지적을 벗어나기 어렵다.
사실 스마트워크는 피할 수 없는 방향이다. 특히 '10년 뒤에도 지금처럼 일할까?'를 화두로 떠올리면 우리 사회에도 큰 변화가 필요하다. 그 물꼬는 정부가 열어주는 것이 바른 판단이다. 생각해보자.10년 뒤에도 우리는 매일 아침 9시에 회사로 나가고 저녁 6시가 되면 퇴근하는 일상적인 활동을 계속할 것인가. 주5일 근무가 더 줄어서 주4일 근무가 될까,아니면 휴일 개념이 없어지고 언제든 일이 있으면 일하는 방식으로 바뀔까.
한번 취업하면 한 회사에서 계속 일하다 60세 이전에 밀려나 또 다른 직장을 찾아 떠나야 할까. 회사에서 오래 일한 사람이 그 경험을 인정받아 연봉도 많이 받는 지금의 체제가 지속될까,아니면 신기술이 발달해 직장 사회에서 연령이 무의미해질까. 아무리 생각해도 지난 200여년간 유지돼온 피라미드의 조직 체계,그리고 낮에 일하는 근무 형태,고정된 업무 공간에서 얼굴을 맞대고 일하는 방식은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이왕 이것이 추세라면 나중에 천천히 따라갈 것이 아니라,보다 적극적으로 미리 그 방향을 잡아 나아가는 것은 분명 옳은 것이다. 정부가 깃발을 높이 들었다가 발을 떼지 않고 있다면,기업이 그리고 개인들이 알아서 기회를 찾아 움직여야 한다는 얘기다.
#스마트워크라는 이름
사실 스마트워크는 작명으로 보면 세계적인 히트상품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유연근무제'가 너무 오래된 개념이고,'모바일 오피스'는 영업사원에 한정된 느낌이어서 새로운 근무체제로는 어감이 약했다. 영국의 BT가 성공 사례를 쌓은 '애자일워킹(agile working)'도 관심을 끌었지만 어려워서인지 대중적 개념은 되지 못했다.
아이폰을 필두로 한 스마트폰이 기존의 휴대폰 시장을 장악하면서 '스마트'가 키워드가 됐을 때 만들어낸 '스마트워크'는 그런 점에서는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근무체제의 이름으로 기막힌 작명이다. 오죽하면 BT의 담당임원이 국내 포럼에 와서 자신들의 근무형태를 '스마트워크'라고 부르기까지 했을까.
지금이라도 늦은 것이 아니다. 정부가 갖고 있는 강력한 도구를 활용해 '스마트워크 촉진법' 같은 것을 제정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한 회사의 근무체계 전반에 손을 대는 것은 매 순간 실적을 신경써야 하는 기업 경영자로서는 쉽게 내릴 수 없는 결정이기 때문이다. 10년 뒤,20년 뒤를 내다본 경영 결정에 대해서는 정부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면 스마트워크에 속도가 붙을 것이다.
권영설 한경아카데미 원장 yskwon@hankyung.com
스마트워크는 스마트폰의 '스마트(smart)'와 일 또는 근무 형태를 뜻하는 '워크(work)'가 합쳐진 단어다. 둘 다 쉬운 영어 단어이다 보니 각자 연상하는 것이 달라 고유의 개념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전 사원들에게 스마트폰을 나눠주는 것 또는 스마트폰에 업무 애플리케이션을 심는 것 자체로 스마트워크를 하고 있다고 발표하는 회사가 있을 정도다. 사장이 스마트폰으로 메일을 보내는 단순한 행위까지 포함해서 말이다.
# 쉬운 용어,많은 오해
스마트워크는 정부가 중 · 장기 과제로 판단,추진하고 있는 핵심 정책이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가 지난해 7월 이명박 대통령에게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으로 보고한 사안이다. 위원회는 2015년까지 근로자의 30%를 스마트워크 체제로 일하게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까지 발표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스마트워크는 대혁명적인 변화"라며 "스마트워크로 근무환경이 나아지면 출산율도 높아지고 삶의 질도 좋아져 업무 성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통량이 줄어들어 이산화탄소 배출이 감소하고 사무실이 적어도 될 것"이라고까지 덧붙였다.
이 스마트워크는 이전에 행정안전부 주도로 확산시켜 온 '공무원 유연근무제'와 민간 부문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모바일 오피스' 개념을 합친 것으로 보면 된다. 특히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자랑하는 IT(정보기술)를 활용하면 스마트워크에서 앞서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의 핵심 아젠다로 채택된 아이템이다. 때마침 불어닥친 스마트폰의 인기에 힘입어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런데 10개월이 가까워 오는 지금까지 국민들이 체감하는 진척도는 여전히 암중모색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 주도 사업이라 '큰 기회가 올지도 모른다'며 기대했던 컨설팅사 등 많은 서비스 업체들의 입이 많이 나와 있다. '제안서만 수십장 썼다'는 불만도 들린다.
#하긴 하는 건가?
뭔가 큰 일로 커갈 것 같던 스마트워크가 이렇게 지지부진하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정부 주도 사업 대부분이 그렇듯 더 큰 사안에 밀렸다. 때마침 나온 '공정한 사회' '대 · 중소기업 상생' 등의 아젠다에 밀려 추진력을 잃고 말았다.
정부 부처 간 경쟁도 일이 꼬이는 원인이 됐다. 공무원 근무제도는 행안부가 맡고 있고 IT와 스마트폰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주도하다 보니 '한 지붕 두 가족'의 전형적인 신경전이 일을 더디게 하고 있다.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워크 포럼도 두 부처 산하기관 하나씩이 사무국을 맡는 형국으로 시작돼 처음부터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의 '영(令)'이 서지 않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다. 예전 같으면 대통령의 한마디를 금과옥조로 생각해야 할 공공기관들이 스마트워크에는 별 관심이 없다. 무엇보다 기관과 기관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평가 지표에 스마트워크가 들어가지 않다 보니 '시험에 안 나오는 공부를 할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정부가 절박해하지도 않고 채근도 않으니 공공 부문이 심드렁해하고,민간부문은 더 관심이 없어진 것이다. 용두사미 형국이 되자 '정부가 하긴 하는 건가'하는 의문들이 늘고 '정부가 왜 나서려 했는가'하는 비판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물론 정부가 손을 내려놓은 것은 아니다. 누구나 집 가까운 곳에서 회사 업무를 볼 수 있는 스마트워크 센터만 해도 2015년까지 500개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세우고 KT와 함께 숫자를 늘려가고 있다. 스마트워크 센터의 경우 실제 가동이 되면 당장 혜택을 볼 수 있는 사람들이 늘어서 스마트워크를 확산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이 스마트워크 센터도 적잖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스마트워크센터를 만들기만 하면 근무환경이 놀랍게 개선될 것이라고 믿는 것 자체부터 문제다. 스마트워크센터는 회사까지 나올 수 없는 사람들이 집 근처에 있는 센터를 활용하도록 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이 경우 이동에 따른 교통비가 절감되고,주부들의 경우 아이들을 멀리 있는 회사까지 데려올 필요가 없어져 근무여건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문제는 회사에 일하는 자리를 그대로 두고 스마트워크 센터를 활용할 경우 결국 원래적 의미의 공간 활용이나 탄소절감과는 반대 방향을 걷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여러 곳에 사무실을 두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또 현실적으로도 매일 스마트워크 센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1주일에 며칠은 회사로 출근해야 한다면 고정된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못하는 아이가 오히려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정부가 감당하기 어려운 아젠다를 괜히 꺼내서 큰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 이유다.
#잘하는 기업을 장려해야
정부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스마트워크는 본질상 기업이나 각 조직의 형편이 달라 자율적으로 추진돼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한다. 정부가 어떤 근무형태를 만들어 강제하거나 제안할 것이 아니라,민간이 각 기업이나 조직의 사정에 맞춰 유연하게 근무형태를 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그 과정에서 안풀리는 문제를 해결해주거나 성공한 사례를 소개시켜주는 역할에 그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뭐는 안 된다'는 식이 아니라 잘하는 것을 더 잘하게 만들어주는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렇게 목표를 잡으면 이미 해오던 유연근무제나 활기를 띠고 있는 모바일 오피스 제도를 조용히 모니터하면서 미래의 근무환경을 만들어주겠다는 생각을 하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시장 질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뤄질 변화를 정부가 괜히 나서서 망치고,오히려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지적을 벗어나기 어렵다.
사실 스마트워크는 피할 수 없는 방향이다. 특히 '10년 뒤에도 지금처럼 일할까?'를 화두로 떠올리면 우리 사회에도 큰 변화가 필요하다. 그 물꼬는 정부가 열어주는 것이 바른 판단이다. 생각해보자.10년 뒤에도 우리는 매일 아침 9시에 회사로 나가고 저녁 6시가 되면 퇴근하는 일상적인 활동을 계속할 것인가. 주5일 근무가 더 줄어서 주4일 근무가 될까,아니면 휴일 개념이 없어지고 언제든 일이 있으면 일하는 방식으로 바뀔까.
한번 취업하면 한 회사에서 계속 일하다 60세 이전에 밀려나 또 다른 직장을 찾아 떠나야 할까. 회사에서 오래 일한 사람이 그 경험을 인정받아 연봉도 많이 받는 지금의 체제가 지속될까,아니면 신기술이 발달해 직장 사회에서 연령이 무의미해질까. 아무리 생각해도 지난 200여년간 유지돼온 피라미드의 조직 체계,그리고 낮에 일하는 근무 형태,고정된 업무 공간에서 얼굴을 맞대고 일하는 방식은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이왕 이것이 추세라면 나중에 천천히 따라갈 것이 아니라,보다 적극적으로 미리 그 방향을 잡아 나아가는 것은 분명 옳은 것이다. 정부가 깃발을 높이 들었다가 발을 떼지 않고 있다면,기업이 그리고 개인들이 알아서 기회를 찾아 움직여야 한다는 얘기다.
#스마트워크라는 이름
사실 스마트워크는 작명으로 보면 세계적인 히트상품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동안 '유연근무제'가 너무 오래된 개념이고,'모바일 오피스'는 영업사원에 한정된 느낌이어서 새로운 근무체제로는 어감이 약했다. 영국의 BT가 성공 사례를 쌓은 '애자일워킹(agile working)'도 관심을 끌었지만 어려워서인지 대중적 개념은 되지 못했다.
아이폰을 필두로 한 스마트폰이 기존의 휴대폰 시장을 장악하면서 '스마트'가 키워드가 됐을 때 만들어낸 '스마트워크'는 그런 점에서는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근무체제의 이름으로 기막힌 작명이다. 오죽하면 BT의 담당임원이 국내 포럼에 와서 자신들의 근무형태를 '스마트워크'라고 부르기까지 했을까.
지금이라도 늦은 것이 아니다. 정부가 갖고 있는 강력한 도구를 활용해 '스마트워크 촉진법' 같은 것을 제정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한 회사의 근무체계 전반에 손을 대는 것은 매 순간 실적을 신경써야 하는 기업 경영자로서는 쉽게 내릴 수 없는 결정이기 때문이다. 10년 뒤,20년 뒤를 내다본 경영 결정에 대해서는 정부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면 스마트워크에 속도가 붙을 것이다.
권영설 한경아카데미 원장 yskw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