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워렌 버핏과 조지 소로스를 꿈꾼다. 그만큼 세계 금융권에서 이 두 사람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현재 두 사람의 부(富)가 정확히 어느 정도인지 알려진 사실은 없다. 이는 부자들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분명한 점은 이들이 기업경영을 통해 돈을 번 사람을 제외하고 돈을 굴려 부자가 된 전형적인 재테크형 부자들 가운데 쌍두마차라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두 사람에 대한 평가는 사뭇 다르다. 워렌 버핏은 '오마현의 현인'이라는 칭송을 제외하고는 옆집 아저씨와 같은 인상으로 누구에게나 거부반응이 없다. 반면 조지 소로스는 '냉혈 인간'이라는 표현이 말하듯 누구도 다가갈 수 없는 사람으로 비친다. 특히 외환위기를 겪었던 우리 국민들에게는 부정적인 인상이 더 강하다. 똑같은 부자라 하더라도 왜 이렇게 다른 평가가 나오는 걸까?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2000년대 이후 재테크 열풍이 불면서 오로지 부자가 되겠다는 일념으로 돈을 추구하는 일부 우리 국민들에게는 많은 시사점을 던지고 있어, 단순히 '수퍼 리치'라는 점 이외에도 이 두 사람을 철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두 사람은 걸어온 길부터 다르다. 워렌 버핏은 어려서부터 부모로부터 돈에 관한 모든 것을 배웠다. 그는 몸에 체화된 부자다. 반면 성장과정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조지 소로스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초이다. 유럽지역을 커다란 혼란에 빠뜨렸던 통화위기의 주범이라는 사실에서부터다. 이들은 추구하는 돈에 대한 관념도 다르다. 워렌 버핏은 돈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가는데 하나의 도구로 배웠다. 다시 말해 돈을 벌거나 쓰는데 여유가 있다는 뜻이다. 반면 조지 소로스는 돈이 주는 다양한 이점보다는 그 자체만을 버는데 우선순위를 둔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달러로 감싸진 조지 소로스의 웃는 얼굴이 단적인 예다. 돈에 대한 개념은 일상생활이나 투자방법, 부자가 된 이후 돈을 어떻게 쓰는가에 영향을 미친다. 우선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워렌 버핏은 고루하게 느껴질 정도의 오래된 뿔테 안경과 20년 이상된 캠리 자동차, 오마현의 작은 집이 그 모든 것을 말해준다. 한마디로 검소하다는 그 말 자체다. 워렌 버핏 만큼은 아니지만 조지 소로스 역시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검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상생활에서 검소한 것은 이들 두 사람 뿐만 아니라 모든 수퍼 리치들의 공통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다만 돈을 벌기 위해서는 돈을 아끼지 않는 것은 조지 소로스가 워렌 버핏과 다른 점이다. 이들은 돈을 버는 방법에 있어서도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 돈에 대해 여유가 있는 워렌 버핏은 돈을 버는데 조급해 하거나 남에게 피해를 주는 비정상적이고 이기적인 방법을 가능한 피한다. 이 때문에 단기적인 투기가 아니라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가 가능해 진다. 당시 시장흐름보다 큰 추세를 중시하기 때문에 투자에 따른 비용과 피로도도 함께 적어진다. 비슷한 맥락으로는 우량 종목은 언젠가는 시장에서 평가받는다는 소위 가치투자가 가능해진다. 지금은 낮게 평가되고 있지만 이를 사서 오랫동안 보유할 경우 나중에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가치투자의 원칙은 국내 증시 뿐만 아니라 세계증시의 가장 큰 축이 되고 있다. 자연스럽게 이 원칙을 지킬 경우 시장을 교란하지 않으면서 시장을 예상할 수 있고 투명성이 확보되는 투자문화와 기업들에게는 정도경영을 촉진시키는 장점도 따른다. 반면 조지 소로스는 초단기적인 투기를 더 선호한다. 조지 소로스가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1990년대는 하루에도 몇 차례씩 주식과 각국의 통화를 사고 판 적이 많다. 특히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외환과 같은 시장일수록 이런 투기행위를 즐긴다. 투기행위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시장에 순응하기 보다는 시장을 교란시켜야 한다. 또 조금이라도 틈이 있어나 비정상적인 흐름이 나타날 때에는 이것을 놓치지 않고 파고든다. 조지 소로스가 운용하는 타이거 펀드와 퀀텀 펀드는 시장의 주도력을 십분 활용하여 1990년대 초 유럽통화와 1990년대 후반 아시아통화 그리고 이번 유럽 재정위기때 유로화를 실제 여건보다 심하게 흔들어 놓으면서 궁극적으로는 위기로 몰아넣었다. 물론 시장을 쉽게 흔들어 놓기 위해서는 고도의 금융기법이 요구된다. 1990년대에 타이거 펀드와 퀀텀 펀드가 사용했던 파생금융 기법은 지금도 이해하지 못한다고 한다. 조지 소로스가 다양한 파생기법 등을 통해 세계금융발전에 기여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많은 국가와 투자자들의 희생이 뒤따르고 금융시스템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떨어뜨린 부정적인 평가도 긍정적인 평가에 못지않다. 대표적으로 외환위기를 겪은 우리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 국민들의 고통을 생각하면 이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는 확연하게 알 수 있다. 아시아 외환위기가 전적으로 조지 소로스의 책임은 아니지만 외환위기로 아시아 국민들이 당한 피해액이 한해 전 세계 국민들이 만들어 내는 국민소득(GDP)과 맞먹는다는 것은 구체적인 수치를 들지 않는다 하더라도 쉽게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세계적인 수퍼 리치라 불리울 만큼 부자가 된 이후에도 이 두 사람이 걷는 방향에 있어서도 확연하게 차이가 있다. 2006년에 워렌 버핏은 평생 동안 번 돈의 3/4을 사회에 환원해 '박애주의자'라는 칭송을 받고 있다. 그것도 오해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자신이 운영하는 재단이 아닌 빌 게이츠가 운용하는 재단에 기부했다. 이번 위기에 미국 국민들이 어려워할 때 엄청난 재산을 기부해 화제가 됐다. 또 자기 자신의 자녀들에 대한 상속은 인색하다. 자녀들이 사회적으로 활동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규모 이외에는 상속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너무 많은 상속은 자녀들이 정상적인 사회활동을 망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오히려 2007년 11월에 열렸던 미국 의회 청문회에서는 상속세 등은 반드시 존속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해 또 한번 미국 국민들을 놀라게 했다. 이에 반해 조지 소로스는 아직까지 이 점에 있어서는 철저하게 베일에 숨겨져 있다. 심지어는 자녀가 정확히 몇 명인지조차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 들어서는 잇딴 투자실패로 재산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점들이 똑같은 부자라 하더라도 각각 다른 평가를 받는 이유다. 나이가 들수록 워렌 버핏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그의 말 한 마디나 행선지, 보유종목 등은 세계인의 관심을 끈다. 그는 투자 대통령이다. 조지 소로스는 어떠한가. 갈수록 그의 영향력은 줄고 있다. 서브 프라임 모기지 부실 발생 등 불안한 상황에서 미국 의회 등이 정책적으로 조언을 구하고자 조지 소로스를 부르는 경우는 없다. 국내 출판업계에서 조차도 워렌 버핏과 관련된 책들은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조지 소로스와 관련된 책자는 소수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