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후임 상무장관에 화이자 전 CEO등 물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0730]게리 로크 장관의 중국 주재 미국대사 지명으로 공석이 된 미 상무장관 후보로 제프리 킨들러 화이자 전 최고경영자(CEO·55)와 에릭 슈미츠 구글 최고경영자(55)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9일 이번 인사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 버락 오바마 행정부 관계자들이 로크 장관 후임으로 슈미츠 CEO와 킨들러 전 CEO와 같은 기업가 출신 인물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론 커크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역시 유력한 후보 가운데 한 명이라고 주장했다.
상무장관직 후보로 재계인사들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은 임기 후반부에 접어든 오바마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초점을 경제살리기에 맞췄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올 초 백악관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윌리엄 데일리도 JP모건체이스 중서부 지역담당 회장을 맡았던 재계 출신이다.
킨들러 CEO는 지난해 12월 사퇴할 때까지 4년 간 세계 최대 제약회사인 화이자를 이끌었다. 그는 지난해 7월 미국의 수출 증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됐던 대통령 자문단에서도 활동했다.
슈미츠 구글 CEO는 그동안 오바마 대통령과 정기적으로 ‘스킨십’을 해온 인물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워싱턴에서 20명의 기업 대표들과 회담할 때도, 지난달 벤처기업인 존 도어의 캘리포니아주 소재 자택에서 12명의 정보기술(IT) 업계 경영자들과 만찬을 가질 때도 슈미츠 CEO가 대통령의 자문을 맡았다. 지난 10년 간 구글을 이끌어왔던 슈미츠 CEO는 4월에 CEO에서 물러난 뒤 회장직으로만 남겠다고 지난 1월 발표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상무장관이었던 노먼 미네타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슈미츠는 비전을 지닌 사람이고 훌륭한 상무장관감”이라며 오바마 행정부가 그를 후보로 고려할만하다고 평가했다.
커크 대표는 재계 인물이 아니지만 다른 두 후보와 달리 USTR 대표직에 임명되는 과정에서 이미 오바마 행정부로부터 능력을 검증받았다는 강점이 있다.
이와 관련,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이 상무장관직 후보를 물색하고 있지만 정확한 지명 시기가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
블룸버그통신은 9일 이번 인사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 버락 오바마 행정부 관계자들이 로크 장관 후임으로 슈미츠 CEO와 킨들러 전 CEO와 같은 기업가 출신 인물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론 커크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역시 유력한 후보 가운데 한 명이라고 주장했다.
상무장관직 후보로 재계인사들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은 임기 후반부에 접어든 오바마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초점을 경제살리기에 맞췄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올 초 백악관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윌리엄 데일리도 JP모건체이스 중서부 지역담당 회장을 맡았던 재계 출신이다.
킨들러 CEO는 지난해 12월 사퇴할 때까지 4년 간 세계 최대 제약회사인 화이자를 이끌었다. 그는 지난해 7월 미국의 수출 증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됐던 대통령 자문단에서도 활동했다.
슈미츠 구글 CEO는 그동안 오바마 대통령과 정기적으로 ‘스킨십’을 해온 인물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워싱턴에서 20명의 기업 대표들과 회담할 때도, 지난달 벤처기업인 존 도어의 캘리포니아주 소재 자택에서 12명의 정보기술(IT) 업계 경영자들과 만찬을 가질 때도 슈미츠 CEO가 대통령의 자문을 맡았다. 지난 10년 간 구글을 이끌어왔던 슈미츠 CEO는 4월에 CEO에서 물러난 뒤 회장직으로만 남겠다고 지난 1월 발표했다.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상무장관이었던 노먼 미네타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슈미츠는 비전을 지닌 사람이고 훌륭한 상무장관감”이라며 오바마 행정부가 그를 후보로 고려할만하다고 평가했다.
커크 대표는 재계 인물이 아니지만 다른 두 후보와 달리 USTR 대표직에 임명되는 과정에서 이미 오바마 행정부로부터 능력을 검증받았다는 강점이 있다.
이와 관련,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이 상무장관직 후보를 물색하고 있지만 정확한 지명 시기가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