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에콰도르·파라과이에 경고

브라질 정부는 남미 인접국들의 정부간 및 기업간 계약 파기 행위에 대해 단호하게 대처할 방침이라고 브라질 일간지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가 3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정부는 최근 수년간 인접국들이 정부간.기업간 계약을 파기하는 행위가 잇따른 것과 관련, "앞으로 유사한 행위가 발생할 경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도 "모든 정부간.기업간 계약은 존중되고 보장돼야 한다"면서 "인접국의 계약 파기 행위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세프 대통령은 특히 계약 문제에 관한 한 "전통적 협력 관계의 볼모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전 대통령 정부에서 빈번하게 벌어졌던 인접국들의 계약 파기 행위를 단호히 거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호세프 대통령과 브라질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은 볼리비아, 에콰도르, 파라과이 등에 대한 일종의 경고로 해석된다.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은 지난 2006년 에너지 산업 국유화 조치를 발표한 이후 군 병력을 동원해 브라질 국영에너지회사 페트로브라스(Petrobras)의 자국 내 정유시설을 장악해 물의를 빚었다.

라파엘 코레아 에콰도르 대통령은 인프라 건설 사업 등을 위해 브라질 기업과 맺은 계약을 일방적으로 해지했고, 페르난도 루고 파라과이 대통령은 브라질-파라과이 접경지역의 이타이푸 수력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 가운데 자국에서 소비하고 남는 잉여전력의 판매가격 대폭 인상을 위해 오는 2023년 시한인 이타이푸 조약의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룰라 전 대통령은 세 나라 정상들과의 친분 관계 때문에 사실상 이들의 행위에 제동을 걸지 못했으며, 인접국의 개발과 성장을 돕는다는 명분 아래 양보를 거듭해 왔다.

그러나 호세프 대통령은 수시로 계약을 파기하는 행위를 남미의 잘못된 관행으로 규정하면서 "남미가 진정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계약을 존중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fidelis21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