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선행지수 0.3p↓..11개월째 하락

우리나라의 경기 둔화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빠른 것으로 11일 나타났다.

다만 한국은 19개월째 경기선행지수(CLI)가 100 이상을 유지해 전체적인 경기 회복 흐름은 올해 상반기에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11월 CLI는 101.1로 전월의 101.4보다 0.3 포인트 하락했다.

전월 대비 CLI 하락 폭은 포르투갈, 터키와 함께 OECD 회원국 중 가장 컸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급격한 경기 회복에 따른 기저 효과로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CLI는 산업활동 동향, 주택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보통 4-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주요 지표로 쓰인다.

주로 CLI가 100 이상에서 상승하면 경기 팽창, 하락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한다.

그러나 100 이상에서 CLI가 떨어질 때는 경기 회복세가 둔화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OECD 회원국 가운데 지난해 11월 CLI가 전월 대비 하락한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포르투갈.터키(-0.3포인트), 호주.덴마크.룩셈부르크.슬로바키아.스페인(-0.2포인트), 폴란드.스웨덴(-0.1포인트) 뿐이다.

OECD 평균은 전월보다 0.2 포인트가 상승했으며 선진 7개국(G7)도 0.3 포인트 오르는 등 전반적으로는 상승세를 보여, 한국과 대조를 이뤘다.

특히 한국은 CLI가 전월 대비 11개월째 하락세를 보여 경기 회복세의 둔화가 이미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뤄지고 있음을 반영했다.

다만 2008년 4월 98.9 이후 19개월째 100을 넘어 올해에도 경기 회복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의 CLI는 2009년 12월 104.8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1월 104.6, 2월 104.3, 3월 103.9, 4월 103.6, 5월 103.2, 6월 102.9, 7월 102.6, 8월 102.2, 9월 101.8을 기록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올해 급속한 경기 회복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하면서 올해 상반기에 경기 회복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이나 연간 5% 성장에는 무리가 없을 걸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기자 president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