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2차 양적완화 조치에 대해 비판여론이 거센 가운데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양적완화 조치의 타당성을 옹호하면서 비판론자들을 향해 적극적인 공세에 나섰다.

버냉키 의장은 특히 미 의회가 추가 경기부양책을 통해 연준의 통화정책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중국과 신흥시장국들의 인위적인 환율통제가 지니는 위험성도 경고했다.

버냉키 의장은 19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유럽중앙은행(ECB) 주최 콘퍼런스에 참석, 연설과 패널토의 발언 등을 통해 이런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세계경제의 회복을 뒷받침하고 미 달러화의 가치를 지지하는 탄탄한 경제적 기초를 유지하는 최상의 방법은 미국이 물가안정속에 활력있는 성장세를 회복하도록 하는 정책을 펴는 것"이라고 강조, 2차 양적완화 조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연준은 이달 3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정을 통해 내년 6월말까지 총 6천억달러 규모의 장기물 국채를 매입하는 2차 양적완화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연준의 2차 양적완화 조치에 대해 독일과 중국 등은 인플레이션과 자산거품을 유발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으며 미국내에서도 공화당 진영과 학계에서는 연일 연준을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버냉키 의장은 그러나 "미국 경제의 더딘 성장과 떨어지는 물가, 10%에 육박하는 실업률 등은 연준의 정책결정권자들로 하여금 추가 부앙조치가 필요하다는 확신을 갖게 만들었다"면서 "현재 미국의 경제상황에서는 수백만명이 향후 몇년간 계속 실직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경기부양을 위해 연준 혼자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며 미 의회가 추가 부양조치를 통해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버냉키는 "경기부양을 위해 의회와 연준이 협력하지 않으면 위험성이 커진다"고 경고하면서 연준의 양적완화 조치와 별개로 연방정부 차원에서 재정지출이 뒷받침될 수 있도록 의회가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버냉키 의장은 미국의 경기회복 노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차원에서 정책적인 공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중국 등 신흥시장국의 환율 문제에 대해서도 비교적 강한 톤으로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낮은 성장률이 문제지만 신흥시장국들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중국과 여타 신흥국들은 인위적으로 자국 통화의 가치를 낮게 유지함으로서 스스로에게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의 안정에도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시장가치를 반영하지 않은 환율시스템이 글로벌 경제의 균형을 가로막고 결국 세계경제의 불안을 초래하게 된다고 버냉키는 지적했다.

한편 패널토론에 나섰던 장 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달러화의 가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버냉키 의장과 견해를 같이 한다"고 말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성장을 뒷받침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서 "미국의 성장률이 4% 이상으로 올라갈 수도 있고 2% 밑으로 떨어질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결과가 나머지 전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고 지적했다.

(베를린.워싱턴연합뉴스) 김경석.박상현 특파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