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와 기업 구조조정 추진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부실채권 비율이 2%대를 넘어섰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2.32%로 6월말(1.94%)보다 0.38%포인트나 상승하면서 2004년 3월말(2.5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부실채권비율은 2008년 6월말 0.70%였지만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9월말 0.82%로 상승한 뒤 올해초까지는 꾸준하게 1%대를 유지해왔다. 9월말 기준 부실채권 잔액은 30조3천억원으로 6월말(25조6천억원)보다 4조7천억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부동산 PF 부실대출 규모는 3조4천억원으로 72%를 차지했다. 부동산 경기침체 영향으로 기업과 가계 등 거의 모든 부문의 부실채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3.19%로 6월말(2.66%)에 비해 0.53%포인트 늘었다. 이 가운데 부동산 PF 대출이 집중돼있는 중소기업의 부실채권 비율은 3.80%로 6월말(3.05%)에 비해 0.75%포인트나 상승했다. 가계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0.60%로 전분기말(0.50%)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 비율은 0.51%로 전분기말(0.37%) 대비 0.14%포인트 높아졌다. 은행권이 부동산 PF 대출채권 정리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42조6천억원으로 전분기말(44조9천억원)에 비해 2조3천억원 감소했다. 그러나 부동산 PF의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6월말 9.6%에서 9월말 18.02%로 급등했다. 금감원은 부실채권 비율이 급증했지만 현재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고려할 때 은행 자체적으로 정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PF 대출규모가 은행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에 불과하고, 은행들도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았다는 설명이다. 다만 금리상승 등 외부요인에 따라 건전성이 급속도로 악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감축토록 지도할 방침이다. 은행별로 올해말까지 부실채권 감축계획을 마련해 적극 추진하도록 지도하는 한편 감독도 강화키로 했다. 특히 부동산 PF 부실대출에 대해선 올해 안에 전액 정리절차가 시작될 수 있도록 별도의 부실채권 정리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