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 협력사를 한데 묶어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파트너십 프로그램이 도입된다. 오는 2015년까지 제조혁신을 선도할 기업 생산성 파이오니어 3만명이 양성되며, 중소기업 맞춤형 제조혁신방법이 개발돼 5천개 업체에 보급된다. 또 2014년까지 정부의 제조.공정혁신 연구개발(R&D) 지원 예산이 지식경제부와 중소기업청 전체 R&D 예산의 9%에서 12%로 늘어난다. 지경부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관계부처과 함께 이런 내용의 중소.중견기업 생산성 혁신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기업 단위 보다는 네트워크 단위의 경쟁으로 글로벌 시장이 바뀌고 있다고 보고 생산성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추진하되 그동안 '대기업 + 1차 협력사'에 그쳐온 네트워크를 '대기업 + 2차 이하 협력사'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 프로그램은 대기업과 1차 협력사가 핵심 파트너로 육성할 2차 이하 협력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서로 생산성 향상 성과 공유협약을 맺으면 2차 이하 협력사의 생산성 향상을 3년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내년에 5개 컨소시엄을 시범 지원하고 2012년부터 30대 대기업으로 확대해 연평균 1천200개사를 지원할 방침이다. 컨소시엄별로 대기업과 정부가 2차 이하 협력사에 대한 지원자금을 조성하되 대기업 재원은 최근 자체 출연한 동반성장자금을일부 활용하고 정부는 협력사 지원자금에 대한 7% 세액공제, 법인세법상 손비처리 인정, R&D 신청시 가점 부여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마이스터고 21곳, 특성화고 105곳, 기술경영과정 운영대학 5곳 등에 제조혁신 교과과정을 개설하고, 생산성본부에도 제조혁신 과정을 열어 1만명의 교육비를 최대 50%까지 지원하는 등 혜택을 제공, 기업 생산성 파이오니어 3만명을 양성키로 했다. 아울러 내년 상반기 국내외 제조혁신 전문가로 컨소시엄을 꾸려 주요 업종별, 기업규모별로 제조혁신 방법을 개발, 30개 업체에 시범 제공한 뒤 2012~2015년 5천개 기업으로 제공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제조.공정.장비 기술개발 강화와 단기생산기술 애로 해소를 위해 제조.공정혁신 R&D 지원 비중을 12%로 끌어올리는 한편 내년에 제조.공정 원천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해 제조.공정기술 지원을 체계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15년까지 제품원가의 95%를 좌우하는 제품.공정 설계 등 제조 준비단계를 효율화하기 위해 세계 최초 온라인 제조설계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주조, 금형,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단조 등 6대 뿌리산업과 전자 등 전체업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는 먼저 2012년까지 자동차 등 10대 업종, 1천개 유형의 공정 설계.분석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공키로 했다. 특히 이런 대책들이 실효를 거둔다면 현재 대기업 대비 61%, 28% 수준인 중견,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2015년까지 70%, 40%로 올라가고 1인당 부가가치 순위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9위에서 4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