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사기가 사회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보험 사기범들이 타 가는 보험금이 연간 2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가구당 연간 보험료를 15만원 정도씩 더 부담해야 한다. 보험 사기는 보험사의 손해율을 높여 경영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도 지목된다. 최근 정부와 보험업계는 물론 시민단체들도 보험 사기 예방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이달 초 법무부와 손해보험업계가 보험 사기 적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주에는 국내 21개 시민단체들이 보험 사기를 명백한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대국민 계몽활동을 펼쳤다.

보험 사기의 가장 큰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보험 사기에 대해 도덕적 불감증을 갖고 있다는 데 있다. 보험 사기라고 하면 살인 방화 등 끔찍한 범죄와 연계돼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목격되며 자신의 행위가 보험 사기고 형법상 사기죄에 해당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살짝 부딪힌 경미한 교통사고에도 마치 중환자가 된 것처럼 과장, '나이롱 환자'로 병원에 장기간 입원한다든지,교통사고로 범퍼가 파손돼 수리하면서 사고와 직접 관련이 없는 다른 부분까지 슬쩍 끼워 넣어 수리하고 보험금을 과다 청구하는 등 사전에 계획해서 저지르는 사고가 아니어도 보험 사기에 해당된다.

뿐만 아니라 보험 가입 전의 질병이나 사고 사실 등을 고의로 숨기거나 축소해서 신고, 가입하는 행위도 보험 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보험 사기로 인한 손실은 보험료를 상승시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온다. 건강한 시민사회를 좀먹는 보험 사기가 자신의 자화상은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