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의도硏 여론조사..30일 `통일비용 토론회' 개최

국민 10명 중 6명은 통일비용의 재원조달 방법으로 남북협력기금과 같은 통일기금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가 지난 27일 전국 성인남녀 3천6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9일 공개한 통일비용 관련 여론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59.3%가 선호하는 통일비용 재원으로 통일기금 형태를 꼽았고, 통일세 형태를 선호한다는 답변은 23.8%였다.

특히 통일비용에 대해 절반이 넘는 52.9%가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으나 `본인이 통일비용을 부담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긍정적 답변이 42.6%에 그쳤다.

통일과 경제적 부담을 연계한 조사에서는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 때까지 통일을 미뤄야 한다(37.1%) ▲비용부담을 하면서까지 통일할 필요가 없다(29.3%) ▲경제적 부담을 하더라도 통일을 서둘러야 한다(2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의도연구소 측은 "우리 국민이 통일과 통일비용의 준비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통일비용을 개인이 떠안는 데 대해서는 다소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해석했다.

또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통일비용의 준비를 시작하는 시기에 대해 내년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응답이 41.9%로 가장 많았고, `2013년 다음 정권부터'가 36.5%, `2020년부터'는 12.0%로 집계됐다.

아울러 전체 응답자의 80.9%는 통일이 필요하다고, 12.1%는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답했고, 예상되는 통일시기에 대해서는 2020년까지 통일될 것이라는 응답이 36.8%로 가장 많았다.

여의도연구소는 30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통일비용,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