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문사 절반이 '적자'…"자문형 랩 인기 좋은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문형 랩 상품 인기로 한껏 주가를 올리고 있는 투자자문업계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중 두 곳 중 한 곳이 적자를 면치 못했고, 당기순이익이 10억원 이상인 자문사도 7곳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 전업 자문사 122곳 중 58개사 '적자'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체 122개 전업 투자자문사 중 지난 1분기(2010년 4월~6월)에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곳은 모두 58개사(47.5%)로 전년 동기 대비 22개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후 새로 설립된 자문사 37개사 중에서는 절반이 넘는 19개사(51%)가 적자를 면치 못했다.
전체 122개 전업 투자자문사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76억원으로 전년 동기 316억원 대비 140억원이 감소했다.
영영업수익도 수수료 수익은 350억원으로 전년 동기 187억원 대비 163억원(87.2%)이 늘었지만, 고유재산운용수익은 473억원으로 전년 동기 607억원 대비 134억원(22.1%) 줄었다.
일대일 맞춤형 투자상품인 자문형 랩의 인기로 수수료 수입은 짭짤했지만 정작 자문사들이 자체 보유하고 있는 자금을 굴리는 데는 실패한 셈이다.
반면 영업비용은 증권 및 파생상품 관련 손실과 인건비 증가로 전년 동기 444억원 대비 145억원 증가한 589억원을 기록했다.
◆ 케이원·브레인 선두권, 신설사 레이크 약진
회사별로는 케이원이 5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가장 양호한 실적을 보였고, 다음으로 브레인(51억원), 코스모(20억원), 가치(14억원), 삼정(13억원), 레이크(12억원), 시선(1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삼호에스에이치(-8억원), 아샘(-6억원), 벡스톤(-6억원), 오크우드(-6억원), 마스터(-5억원), 웅진루카스(-4억원), 코리아오메가(-3억원), 대성(-3억원), 맥(-3억원), 테에스아이(-3억원), 가울(-3억원) 순으로 저조했다.
지난해말부터 시작된 자문형 랩 상품의 인기에 힘입어 자문계약고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6월말 현재 전체 전업 자문사의 계약잔액은 17조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말 13조7000억원 대비 3조6000억원(26.3%) 증가했고, 이중 자문계약고가 6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말 대비 2조9000억원(87.8%) 급증했다. 일임계약고는 11조1000억원으로 7000억원(6.7%) 증가하는데 그쳤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사 자문형 랩 상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자문계약고가 급증한 것이 1분기 영업실적의 특징"이라며 "다만 절반에 가까운 자문사들이 당기순손실을 기록 하는 등 수익성 면에서는 양호한 성적표를 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
1분기 중 두 곳 중 한 곳이 적자를 면치 못했고, 당기순이익이 10억원 이상인 자문사도 7곳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 전업 자문사 122곳 중 58개사 '적자'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체 122개 전업 투자자문사 중 지난 1분기(2010년 4월~6월)에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곳은 모두 58개사(47.5%)로 전년 동기 대비 22개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후 새로 설립된 자문사 37개사 중에서는 절반이 넘는 19개사(51%)가 적자를 면치 못했다.
전체 122개 전업 투자자문사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76억원으로 전년 동기 316억원 대비 140억원이 감소했다.
영영업수익도 수수료 수익은 350억원으로 전년 동기 187억원 대비 163억원(87.2%)이 늘었지만, 고유재산운용수익은 473억원으로 전년 동기 607억원 대비 134억원(22.1%) 줄었다.
일대일 맞춤형 투자상품인 자문형 랩의 인기로 수수료 수입은 짭짤했지만 정작 자문사들이 자체 보유하고 있는 자금을 굴리는 데는 실패한 셈이다.
반면 영업비용은 증권 및 파생상품 관련 손실과 인건비 증가로 전년 동기 444억원 대비 145억원 증가한 589억원을 기록했다.
◆ 케이원·브레인 선두권, 신설사 레이크 약진
회사별로는 케이원이 5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가장 양호한 실적을 보였고, 다음으로 브레인(51억원), 코스모(20억원), 가치(14억원), 삼정(13억원), 레이크(12억원), 시선(1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삼호에스에이치(-8억원), 아샘(-6억원), 벡스톤(-6억원), 오크우드(-6억원), 마스터(-5억원), 웅진루카스(-4억원), 코리아오메가(-3억원), 대성(-3억원), 맥(-3억원), 테에스아이(-3억원), 가울(-3억원) 순으로 저조했다.
지난해말부터 시작된 자문형 랩 상품의 인기에 힘입어 자문계약고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6월말 현재 전체 전업 자문사의 계약잔액은 17조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말 13조7000억원 대비 3조6000억원(26.3%) 증가했고, 이중 자문계약고가 6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말 대비 2조9000억원(87.8%) 급증했다. 일임계약고는 11조1000억원으로 7000억원(6.7%) 증가하는데 그쳤다.
금감원 관계자는 "증권사 자문형 랩 상품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자문계약고가 급증한 것이 1분기 영업실적의 특징"이라며 "다만 절반에 가까운 자문사들이 당기순손실을 기록 하는 등 수익성 면에서는 양호한 성적표를 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