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노동계가 7일 정년연장을 골자로 하는 연금개혁 입법안에 반발해 대규모 총파업을 벌여 철도와 항공을 비롯한 대중교통과 학교, 우체국 등에서 불편을 겪었다.

프랑스의 최대 노동단체인 노동총동맹(CGT)과 민주노동동맹(CFDT) 등 7개 노동단체는 연금개혁안의 국회 심의가 시작된 이날 전국 총파업에 돌입해 파리, 마르세유, 리옹 등 대도시를 비롯한 전국 200여 개 지역에서 모두 200만명의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내무부는 정오 현재 45만명이 파업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프랑스 언론에 따르면 이날 파업으로 파리지하철과 초고속열차(TGV) 등 대중교통과 학교, 우체국, 항구 등 공공부문에서 불편을 겪었지만, 우려했던 큰 혼란은 빚어지지 않았다.

프랑스국영철도(SNCF)는 이날 TGV의 40%, 수도권 전철의 40%, 파리시내 지하철 25-50%, 해외 고속열차 노선인 탈리스는 80%가 각각 운행됐다.

다행히 파리시내 버스와 전차, 유로스타는 정상운행됐으나, 일부 통근자들은 무인 자전거 대여 시스템인 벨리브로 출근하는 모습도 목격됐다.

또 대서양 연안의 생-나제르 항구가 봉쇄됐으며 1개 라디오방송국은 파업에 따른 결방으로 음악 프로를 송출했다.

에어프랑스는 중·단거리 항공편을 줄여 샤를드골공항은 90%, 오를리공항은 50%를 각각 운항했으며, 장거리 항공편은 정상운항했다.

항공사들은 프랑스 민간항공총국의 요청에 따라 예정 항공편의 25%를 줄여 운항했다.

프랑스전력공사(EDF)와 정유기업 토탈에 근무하는 노동자들도 파업에 참여했으나 별다른 영향을 주진 않았으며, 공영TV와 라디오 6개 노조, 교원노조 등도 동참했다.

교원 감축에 반발하는 중등 교원노조는 전날인 6일부터 파업을 시작했다.

파업을 주도한 주요 노동단체 지도자들은 8일 별도로 모여 향후 대책과 노선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은 이날 집권 대중운동연합(UMP) 소속 의원들에게 정년연장 방침은 확고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전문가들은 노조들이 이날 총파업을 통해 일단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해도 정부 방침을 무력화시킬 정도의 추가 동력은 얻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프랑스 정부는 연금제도의 개혁 없이는 오는 2020년까지 연간 적자가 500억유로(67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며 정년 연장을 내용으로 하는 연금개혁 입법을 추진해왔다.

(파리연합뉴스) 김홍태 특파원 hongtae@yna.co.kr